뷰페이지

현실부정은 인간 진화의 힘

현실부정은 인간 진화의 힘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15-07-03 17:54
업데이트 2015-07-03 18: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정본능/아지트 바르키·대니 브라워 지음/노태복 옮김/부키/400쪽/1만 8000원

코끼리나 돌고래, 침팬지 등에게도 인간과 같은 지적 능력을 갖출 기회는 있었다. 인간과 함께 수백만 년 동안 진화를 거듭해 왔으니 말이다. 하지만 인간을 제외하고 모두 실패했다. 왜일까. 새 책 ‘부정본능’은 심리적인 이유에서 답을 찾는다. 인류가 독보적인 존재로 진화한 원동력이 뇌의 발달 같은 생물학적 이유가 아니라, 죽음에 대한 부정 등 현실을 부정하는 인간의 고유 능력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미지 확대
사람들은 기꺼이 죽을 위험을 무릅쓴다. 행위의 결과가 이치에 맞지 않는 데도 그렇다. 죽음이 앞당겨질 가능성이 분명해도 수시로 담배를 피워 물고, 생존 확률이 높아진다 해도 안전띠를 매지 않는다. 치명적인 병에 걸릴 위험을 알면서도 ‘하룻밤 풋사랑’을 즐기는 모험도 서슴지 않는다. 이 같은 행동의 이면엔 현실부정이 있다. 불행한 통계의 대상이 자기가 아닌 다른 누구일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 말이다. 인간이 가진 현실 부정 능력의 사례다. 초기 인류도 비슷했다. 저자들은 인류가 인지능력을 발달시키다가 죽을 운명(필멸성)이란 현실을 알아차리자 이를 부정하는 능력을 진화시키기 시작했고, 이 덕에 다른 동물보다 뛰어난 존재가 될 수 있었다고 주장한다.

책이 인용한 고대 인도 문학의 한 대목이다. 야차(정령)가 물었다. 무엇이 가장 놀라운 일이냐고. 유디슈티라라는 이가 대답했다. “매일 사람들이 죽는데, 이로써 우리는 사람이란 죽을 운명임을 압니다. 하지만 우리는 살아가고 일하고 놀고 앞날을 계획하는 등 마치 우리가 불멸의 존재인 것처럼 여깁니다. 이보다 더 놀라운 것이 어디 있겠습니까.”

다른 동물들이 진화의 장벽을 넘지 못한 건 죽음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었다. 죽음의 경계에 이르지 않기 위해 안주하고 움츠러드는 방향으로 진화한 것이 패착이었다는 것이다. 책에서 말하는 부정이란 ‘의식하게 되면 참을 수 없는 사고, 감정, 또는 사실들을 인정하지 않음으로써 불안을 누그려뜨리려는 무의식적인 방어기제’를 뜻한다. 저자들은 부정본능이 진화의 과정을 거치며 인간의 본성이 됐다고 했다. 하지만 이런 능력은 독배가 될 수도 있다. 인류를 휩쓸 재앙이 실제 일어나거나 명백하게 임박하지 않는 한 우리의 부정본능이 사안을 완전히 무시해 버린다는 것이다. 그러니 책을 기준 삼자면 뻔한 일조차 부정으로 일관하는 한국의 정치인들이 잘 먹고 잘 사는 게 논리에 맞다. 메르스를 가벼이 본 보건당국의 초기 대응 또한 부정 본능에 부합한다. 참 희한한 논리다.

손원천 기자 angler@seoul.co.kr
2015-07-04 18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