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지루함 못 견디는 인간 문화와 문명을 만들다

지루함 못 견디는 인간 문화와 문명을 만들다

입력 2014-11-08 00:00
업데이트 2014-11-08 04: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간은 언제부터 지루해했을까?/고쿠분 고이치로 지음/최재혁 옮김/한권의 책/376쪽/1만 9000원

자본주의가 전개되면서 사람들은 한결 여유로워졌고 한가함을 얻었다. 그러나 여유가 생긴 사람들은 이 한가함을 어떻게 사용하면 좋을지 모른다. 무엇이 즐거운 것인지 모르고, 자신이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도 알지 못한다.

이미지 확대
자본주의는 이 틈을 파고든다. 문화산업이라는 이름으로 사람들에게 ‘만들어진 즐거움’, 즉 문화상품을 제공하고 그것으로 경제적 이득을 얻는다. 일본에서 가장 주목받는 젊은 철학자로 꼽히는 고쿠분 고이치로는 “이전 시대에는 노동자의 노동력이 착취됐지만 이제는 오히려 노동자의 한가함이 착취되고 있으며, 한가함의 착취는 자본주의를 이끌어 가는 거대한 힘”이라고 단언한다. 그는 역설과 질문으로 가득 찬 책 ‘인간은 언제부터 지루해했을까?’에서 이처럼 한가함이 착취되는 이유가 “인간이 지루한 것을 싫어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그는 사회적 불평등부터 현대 소비사회가 인간의 소외를 불러오는 것까지 모든 문제가 인간의 근원적인 고통인 ‘지루함’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책은 한가함과 지루함이 어떤 문제를 만들어 내는지, 인류사적 관점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지, 현대 소비사회에서 한가함의 문제는 무엇인지를 차례로 다룬다. 17세기의 수학자이자 종교사상가인 파스칼은 “인간의 불행은 누구라도 방에 꼼짝하지 않고 있을 수 없기 때문에 일어난다.”고 했다.

파스칼에 따르면 지루해하는 것은 인간이 겪는 모든 불행의 원천이다. 니체는 “인간은 지루함으로 괴로울 바에야 오히려 괴로움을 택한다”고 이에 공감한다. 저자는 ‘지루함의 최고봉’으로 꼽히는 하이데거의 철학을 하나하나 비판적으로 분석해 나간다. 그러면서 인간에게 주어진 숙명 같은 지루함의 고통에서 벗어나는 길을 모색한다.

인간은 대부분 지루함과 기분 전환이 뒤섞인 상태를 살아간다. 인류는 지루함이라는 원죄를 안고 있지만 기분 전환이라는 즐거움을 창조하는 지혜를 가지고 있기도 하다. 지루함과 어쩔 수 없이 마주하게 된 인류는 문화와 문명이라고 불리는 것을 발달시켰다. 그렇게 예술이 생겨났고 의식주 이외의 것을 모색하면서 삶을 장식할 줄도 알게 됐다. 문화란 어쩔 수 없는 지루함과 직면하게 된 인간이 괴로움과 사이 좋게 공존하기 위해 생각해 낸 방법인 셈이다.

지루함과 공존하는 삶, 즉 인간적인 삶에서 벗어날 수 있는 가능성은 있다. ‘동물 되기’가 대안이다. 동물이 하나의 환경 세계에 빠져 사는 고도의 능력을 지닌 것처럼 우리 역시 특정한 대상에 ‘압도되어 있는 상태’를 계속할 수 있다면 인간은 지루해지지 않을 것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함혜리 기자 lotus@seoul.co.kr
2014-11-08 1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