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토종 창작발레 수출하는 게 다음 목표”

“토종 창작발레 수출하는 게 다음 목표”

입력 2014-01-07 00:00
업데이트 2014-01-07 02: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창단 30주년 맞은 유니버설발레단 문훈숙 단장

“해외에 나가면 유니버설발레단의 창작 발레 ‘심청’에 대한 관객 반응이 놀라울 정도로 뜨거워요. 오페라 ‘나비부인’이 일본, 발레 ‘라바야데르’가 인도를 배경으로 하듯 우리나라를 배경으로 한 작품도 수출 못 할 이유가 없죠. 우리 창작 발레를 해외에서 탐내도록 만들어 수출하는 게 다음 목표입니다.”

이미지 확대
유니버설발레단의 창립 멤버이자 2002년부터 발레단을 이끌어 온 문훈숙 단장은 “취임 첫 3년은 아버지(박보희 전 한국문화재단 이사장)의 강력한 카리스마를 따라가려다 좌절도 많이 했지만 이제는 나만의 방식을 찾았다”며 “요즘도 경영에 관한 책을 계속 읽고 경영 전문가들에게 자문을 받으면서 단원들을 믿는 지도자가 되려 한다”고 말했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유니버설발레단의 창립 멤버이자 2002년부터 발레단을 이끌어 온 문훈숙 단장은 “취임 첫 3년은 아버지(박보희 전 한국문화재단 이사장)의 강력한 카리스마를 따라가려다 좌절도 많이 했지만 이제는 나만의 방식을 찾았다”며 “요즘도 경영에 관한 책을 계속 읽고 경영 전문가들에게 자문을 받으면서 단원들을 믿는 지도자가 되려 한다”고 말했다.
이종원 선임기자 jongwon@seoul.co.kr
올해 창단 30주년을 맞은 유니버설발레단 문훈숙(51) 단장의 얼굴에는 자신감과 설렘이 함께 배어 있었다.

발레단이 첫발을 내디딘 1984년. 변변한 남자 무용수가 없던 시절, 다리가 길다는 이유만으로 학교 인쇄소 직원에 연극배우들까지 끌어와 공연을 올렸다. 그 열악한 시간을 딛고 한국 발레가 세계 무대에서 존재를 뚜렷이 각인시킨 건 국내 최대 민간 발레단인 유니버설발레단의 공이 컸다.

그 중심에 문 단장이 있다. 특히 창단 멤버인 그가 바라보는 발레단의 서른살 생일은 감회가 남다르다. 문 단장은 “30주년을 맞아 겉으로 화려하게 보이는 행사에 치중하기보다는 사람이 바뀌어도 발레단이 더 오랜 세월을 흔들림 없이 나아갈 수 있도록 토대를 탄탄하게 다질 계획”이라며 “단원 및 공연 평가 체계화, 단원·직원 처우 개선, 공연 제작 과정의 효율화 등 내부 시스템 개선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문 단장 특유의 ‘부드러운 카리스마’는 관객과 발레를 잇는 연결고리가 됐다. 2008년부터 공연 전 그가 직접 발레 동작을 보여주며 작품 감상법을 일러주는 해설과 실시간 자막 도입 등은 발레 대중화를 견인했다. 2009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5년간 평균 객석 점유율이 82%(유료 객석 점유율 75%)로 안정적인 운영을 이뤄냈다.

‘발레 한류’의 첨병 노릇도 톡톡히 하고 있다. 1985년부터 국내 발레단으로는 처음으로 해외 공연을 시작한 유니버설발레단이 지금까지 무대에 오른 곳만 21개국 115개 도시에 이른다. 레퍼토리 구성도 1992년 러시아 마린스키발레단과 협업한 뒤 다채로워졌다.

문 단장은 “앞으로도 단원 전체가 고른 기량을 갖춘 유니버설발레단만의 스타일을 고수하면서 고전의 전통성과 현대작의 세련미를 효과적으로 섞은 레퍼토리를 꾸며 가겠다”고 말했다. 특히 그의 머릿속에는 내후년 선보일 창작 발레에 대한 생각이 가득 차 있다. 그는 “한국적 요소를 담은 현대판 명작이니 기대해 달라”고 귀띔했다.

오는 2월 30주년 기념 특별 갈라 공연을 연 뒤에 4월에는 스페인 천재 안무가 나초 두아토의 ‘멀티 플리시티’ 전막을 초연한다. “두아토에게 지난해 ‘멀티 플리시티’ 전막을 무대에 올리고 싶다고 했더니 한국에 와서 단원들의 기량을 평가한 다음에 답을 주겠다고 하더군요. 지난해 10월 찾은 그가 우리 단원들의 움직임을 보더니 단번에 ‘노 프라블럼’이라고 외치더라고요.” 자신도 두아토의 팬이라는 문 단장은 만족감과 기대감에 찬 표정으로 웃어 보였다.

미래를 품은 문 단장의 눈길은 발레단 내부에 그치지 않는다. 국내 무용계가 발전하려면 창의적인 안무가를 길러 내는 게 급선무라고 힘주어 말했다. “요즘은 국내에서 교육받은 무용수가 해외 발레단에서 주역을 할 수 있을 정도로 작품, 무용수, 교육 수준이 모두 올라갔어요. 마지막 과제는 탁월한 안무가를 발굴해 내는 거죠. 영국 로열발레단의 케네스 맥밀런, 미국 뉴욕시티발레단의 게오르게 발란친 등 세계 무용계를 봐도 발레단이 비약적으로 발전한 시기는 천재 안무가가 내부에서 탄생했을 때예요. 우리도 토양이 갖춰졌으니 우리만의 지문이 묻어 있는 발레를 만들고 수출하는 일만 남았죠.”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4-01-07 21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