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등 vs 승격 ‘단두대 매치’… 부산 극장골로 먼저 웃었다

강등 vs 승격 ‘단두대 매치’… 부산 극장골로 먼저 웃었다

홍지민 기자
홍지민 기자
입력 2023-12-07 01:56
업데이트 2023-12-07 01: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1차전

수원FC 상대 2-1 기선제압 성공
라마스, 막판 페널티킥 2개 ‘역전’

김포·강원 무승부… 9일 끝장승부


이미지 확대
우박 속 포효
우박 속 포효 프로축구 부산 아이파크의 라마스(왼쪽 두 번째)가 6일 부산 아시아드주경기장에서 열린 2023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1차전 수원FC와의 홈경기에서 막판 페널티킥 2개로 2-1 역전극을 이끌어 낸 뒤 동료들과 기뻐하고 있다.
부산 연합뉴스
프로축구 부산 아이파크가 페널티킥 2개로 역전 드라마를 쓰며 4년 만의 1부 복귀 꿈을 부풀렸다.

K리그2 준우승팀 부산은 6일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에서 열린 2023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PO) 1차전 수원FC(K리그1 11위)와의 홈경기에서 전반 선제골을 얻어맞았으나 경기 막판 라마스가 페널티킥 2개를 거푸 성공해 2-1로 이겼다.

2016년 승강 PO에서 수원FC에 패해 기업 구단으로는 사상 처음 2부로 강등된 뒤 2020년 1부로 돌아왔다가 한 시즌 만에 다시 2부로 내려간 부산은 4년 만의 1부 복귀 가능성을 키웠다. K리그 역대 최다인 다섯 번째 승강 PO를 치르는 부산은 처음으로 1차전에서 승리하는 기쁨도 누렸다.

승강 PO는 1, 2차전 합계로 승부를 가린다. 동점이면 2차전 경기장에서 그대로 연장전을 치르고, 연장전에서도 승자를 가리지 못하면 승부차기를 한다.

부산을 제물로 2016년 1부를 처음 경험한 뒤 한 시즌 만에 강등됐다가 2021년 다시 승격한 수원FC는 벼랑 끝에 몰렸다. 특히 이날 경고 누적으로 퇴장당한 에이스 이승우가 2차전에 나설 수 없어 절체절명의 위기다. 두 팀의 2차전은 오는 9일 수원종합운동장에서 열린다.

승격이 간절한 부산이 더 공세적이었다. 무려 18개의 슈팅을 난사했다. 수원FC는 절반인 9개에 그쳤다. 하지만 조기 교체 카드를 적극 활용한 수원FC가 전반 32분 선제골을 뽑아냈다. 장재웅이 페널티 아크 앞에서 왼발 중거리 슛을 날려 골망을 흔들었다. 2년차 장재웅은 투입 10분 만의 득점으로 K리그 데뷔골을 기록했다.

수원FC는 후반 시작과 함께 장재웅을 빼고 이승우와 로페즈를 투입하는 등 승부수를 띄웠다. 부산은 더 적극적으로 공격을 거듭했지만 라마스와 이한도의 슛이 골문을 거듭 비껴가 속을 끓였다. 후반 22분에는 이승우의 왼발 감아차기가 골대를 때려 가슴을 쓸어내리기도 했다.
이미지 확대
6일 부산 아시아드주경기장에서 열린 2023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1차전 부산 아이파크와 수원FC의 경기에서 경고 누적으로 레드카드를 받고 퇴장하고 있는 수원FC 이승우(왼쪽). 부산 연합뉴스
6일 부산 아시아드주경기장에서 열린 2023 K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1차전 부산 아이파크와 수원FC의 경기에서 경고 누적으로 레드카드를 받고 퇴장하고 있는 수원FC 이승우(왼쪽).
부산 연합뉴스
패색이 짙던 부산은 이승기가 이승우의 반칙으로 페널티킥을 얻어 내며 분위기를 반전했다. 2번째 옐로카드를 받은 이승우는 퇴장당했고, 키커로 나선 라마스가 후반 39분 균형을 맞췄다. 수적 우위에 선 부산은 공세를 거듭했고, 후반 추가 시간 김정환이 박스 내 경합 중 김선민에게 걸려 넘어지면서 또 한 번 페널티킥을 얻어 냈다. 부산은 이번에도 라마스가 마무리하며 짜릿한 역전승을 완성했다.

김포솔터축구장에서 열린 PO 1차전에서는 강원FC(K리그1 10위)와 김포FC(K리그2 3위)가 맞붙었으나 득점 없이 비겼다. 두 팀은 9일 강릉종합운동장으로 장소를 옮겨 2차전을 치른다.
홍지민 전문기자
2023-12-07 23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