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0억’ 국내위성, 北핵실험 못찍은 이유는

‘5000억’ 국내위성, 北핵실험 못찍은 이유는

입력 2013-02-13 00:00
수정 2013-02-13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항우연, 처음엔 “국정원 요청 없어 현장촬영 못해” 밝혔다가 뒤늦게 “촬영했지만 구름 많아 식별 불가능” 말바꿔 ‘외압 의혹’

정부가 한반도 상공 감시 등의 목적으로 5000여억원을 들여 개발한 다목적 실용위성 2기가 북한 3차핵실험 직후 현장 사진을 확보하는 데 실패했다. 위성에 장착된 카메라들이 구름이 낀 상황에서 지상을 촬영할 능력이 없기 때문이다. 위성 운용을 담당하는 기관장은 위성이 실험 현장을 지났는지, 촬영이 이뤄졌는지 등 기본적인 사항조차 파악하지 못했다.

이미지 확대
아리랑 3호
아리랑 3호
김승조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은 12일 “북한 핵실험이 진행된 뒤 오후 1시 19분 다목적 실용위성 아리랑 3호가 한반도 상공을 지나면서 사진을 촬영했다”면서 “하지만 구름이 많이 끼어 현장 식별은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지난해 5월 발사된 아리랑 3호는 땅 위의 가로 세로 70㎝ 크기의 물체까지 인식할 수 있는 컬러 카메라를 장착하고 있다. 2006년 발사된 아리랑 2호는 이보다 다소 성능이 떨어지는 가로 세로 1m 크기의 물체를 인식하는 흑백 카메라가 장착돼 있다.

아리랑 3호가 한반도 상공을 지난 시점은 북한이 핵실험을 진행한 것으로 알려진 오전 11시 58분보다 1시간 20분가량 지난 시점으로 발사 직후 상황을 판단하는 데 가장 중요한 때였다. 하지만 한국이 ‘세계 최고 수준’이라고 자부하던 아리랑 3호의 카메라는 지상 상황을 전혀 담아내지 못했다. 항우연 측은 “광학 카메라 특성상 구름이 끼거나 어두우면 촬영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했다. 특히 국가정보원이 지시한 스케줄에 맞춘 아리랑 2, 3호의 운용 책임을 지고 있는 김 원장은 실험이 알려진 직후 “국정원에서 북한 지역 촬영과 관련한 스케줄과 프로그램을 전달받지 못했고, 다른 작업을 하느라 현장을 촬영하지 못했다”고 밝혔다가 뒤늦게 “촬영했지만 식별이 불가능하다”고 말을 바꿨다. 이 때문에 국정원이 책임을 피하기 위해 항우연에 압력을 행사했다는 의혹도 제기된다. 실제 촬영이 이뤄졌더라도, 책임자가 국가적 긴급 상황에서 소관 업무의 기본적인 부분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던 데다 5000억원(아리랑 2호 2600억원·아리랑 3호 2400억원)을 들여 개발한 위성이 무용지물로 드러난 점 역시 심각한 문제로 지적된다.

박건형 기자 kitsch@seoul.co.kr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1월 5일로 다가온 미국 대선이 미국 국민은 물론 전세계의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 있습니다. 민주당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 공화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각종 여론조사 격차는 불과 1~2%p에 불과한 박빙 양상인데요. 당신이 예측하는 당선자는?
카멀라 해리스
도널드 트럼프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