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토리 바이올린 활이 뭐길래

사토리 바이올린 활이 뭐길래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15-08-03 00:10
업데이트 2015-08-03 01: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수천만원 명품 활 빼돌렸다” vs “애초 싸구려 빌려줘”

수천만원대의 명품 바이올린 활을 둘러싼 서울시립교향악단 연주자들 간 진실 공방에서 법원이 3000만원 배상 판결을 내렸다.

서울시향 단원 A씨는 2011년 자신에게 맞는 바이올린 활을 찾기 위해 악기사나 동료들로부터 여러 활을 빌려 쓰고 있었다. 그러던 중 외국인 수석연주자 B씨로부터 ‘사토리’ 활과 다른 활 등 2개를 빌렸고 사흘 뒤 돌려줬다. 사토리 활은 프랑스의 유진 사토리사가 제작하는 명품 바이올린 활로 2000만~5000만원 사이에 거래된다.

그러나 A씨가 돌려준 활 중 하나는 사토리 활이 아닌 싸구려 활이었다. B씨는 A씨가 고의로 활을 빼돌렸다고 생각해 민사 및 형사소송을 제기했다. 이에 A씨는 “B씨가 하급자인 자신에게 싸구려 활을 빌려줘 놓고 활이 바뀌었다고 주장한다”며 맞섰다.

서울중앙지법 민사39단독 최경서 판사는 B씨가 A씨를 상대로 “사토리 활을 돌려주든지 활값 4000만원을 배상하라”며 낸 유체동산인도 등 소송에서 “(활의 시가로 판단한) 3000만원을 배상하라”고 판결했다고 2일 밝혔다.

최 판사는 “A씨는 다른 동료들로부터 사토리 활 2개를 빌려 쓰고 있어 외형 및 특성을 잘 알고 있었을 것”이라며 “대여 당시 B씨가 보증서를 보여 주면서 사토리 활에 대해 설명을 했는데도 A씨가 별다른 이견 없이 빌려 간 점에서 B씨가 자신에게 싸구려 활을 빌려줬다는 A씨 측 주장은 납득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다만 “A씨가 활을 빌린 기간 동안 언제, 어디에서 사용했는지 등에 대해 정확히 기억을 못하는 점에 비춰 볼 때 관리에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잃어버렸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며 일부러 활을 빼돌린 것은 아니라고 판단했다.

이정수 기자 tintin@seoul.co.kr
2015-08-03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