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거 지운 ‘검은손’ 찾아라

증거 지운 ‘검은손’ 찾아라

김양진 기자
입력 2015-04-21 00:04
업데이트 2015-04-21 03: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리스트 속 정치인이 회유했나, 비자금 의혹 경남기업 내부인 제 발 저렸나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이 죽기 직전 메모와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해 ‘정치권 금품 로비’에 대해 폭로했지만 장기간 성 전 회장을 보좌했던 측근들 사이에선 성 전 회장의 의도와는 다른 분위기도 감지돼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미지 확대
20일 검찰에 따르면 경남기업 관련 의혹을 수사 중인 특별수사팀은 경남기업 측이 ‘성완종 리스트’에 대해 수사를 받는 과정에서 관련 자료를 폐기하거나 은닉한 정황을 다수 포착했다. 회사 측이 압수수색을 앞두고 내부 폐쇄회로(CC)TV를 꺼 놓거나 일부 디지털 자료들을 삭제한 흔적을 검찰이 확인한 것이다. 검찰은 이런 증거인멸 시도가 조직적으로 이뤄졌는지 확인하고 있다.

검찰에서는 경남기업의 이런 ‘미심쩍은’ 행동의 배경에 대해 두 가지 가설을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먼저 성완종 리스트에 등장하는 인물 측으로부터 회유 시도가 있었을 것이라는 가정이다. 경남기업 측 핵심 관계자 11명의 통화 기록, 주거지 압수물 등에 대한 분석 결과 이들이 통상 업무와 관련 없는 신원 불명의 인사들과 접촉한 단서가 다수 확보돼 이런 의혹을 키우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삭제된 자료는 지워진 일시가 뚜렷하게 남아 있어 증거인멸 시기와의 연관성을 자세히 따져 보고 있다”고 말했다.

성 전 회장 측근인 핵심 관계자 일부가 언론인과 국회의원 보좌관 출신으로 정치권과 연이 닿아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이들은 폭넓은 인적 네트워크를 맺고 있어 다양한 루트를 통해 수사 대상 인물 혹은 그들과 연관된 ‘제3의 인물’과 접촉했을 개연성이 있기 때문이다. 리스트 등장인물 측과 성 전 회장 측근 간에 접촉한 사실이나 조직적인 증거인멸 지시가 확인되면 검찰 수사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검찰이 기본적으로는 경남기업 비자금 의혹을 겨냥하고 있기 때문에 핵심 관계자들이 자신의 비위를 최대한 감추려 한 것 아니냐는 분석도 제기된다. 특별수사팀이 꾸려지자마자 검찰은 리스트에 국한된 수사가 아닌 비자금 조성 의혹 전반에 대한 수사라고 강조했다. 정·관계 금품 로비가 광범위하게 이뤄졌다는 사실이 확인되면 성 전 회장을 수행한 측근들도 처벌받을 가능성이 있다. 금품 전달이 반복적으로 이뤄져 뇌물이라는 사실을 인지했다면 뇌물 공여죄 등으로 처벌될 수 있다.

검찰은 금품 전달 과정에서 ‘배달 사고’가 났을 가능성도 염두에 두고 있다. 이와 관련, 경남기업의 한 관계자는 “살 사람은 살아야 되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김양진 기자 ky0295@seoul.co.kr
2015-04-21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