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간조명 강한 지역에 유방암 환자 많다

야간조명 강한 지역에 유방암 환자 많다

입력 2014-05-09 00:00
업데이트 2014-05-09 11: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대의대 연구팀 ‘빛 공해’ 영향 분석…인지기능에도 부정적

야간조명이 강한 지역 주민들의 유방암 발병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등 밤 시간 ‘빛 공해’가 여러가지 측면에서 몸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이 나왔다.

고려대의대가 9일 한국조명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빛 공해 건강영향 연구에 따르면 전국 각 지역 유방암 유병률과 빛 공해 수준을 조사한 결과, 야간조명이 유방암 증가 요인으로 지목됐다.

이은일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지나치게 밝은 빛이 생체리듬을 교란해 호르몬 변화를 일으키고, 이 때문에 유방암이 늘어난다는 기존 이스라엘의 선행 연구 결과가 우리나라에서도 확인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연구팀은 야간조명과 인지기능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성인 남성 23명을 세 그룹으로 나눠 빛 공해(밝기 5lux·10lux)가 있는 두 개 방과 빛이 없는 방에서 재운 뒤 다음날 fMRI(기능적 자기공명영상)로 뇌를 촬영했다. 그 결과 노출된 빛의 양이 많을수록, 인지기능을 나타나내는 뇌 활성도가 낮았다.

이 밖에 야간 조명은 수면의 질을 떨어뜨리는 반면 눈의 피로를 늘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빛 공해의 부정적 영향에도 불구, 사람들은 위험을 제대로 깨닫지 못하고 있었다. 20대이상 남녀 성인 1천96명 가운데 절반 정도(45.3%)는 2013년 제정된 빛공해 방지법에 대해 “전혀 모른다”고 답했고, 빛 공해의 주요 영향으로도 건강 피해 보다는 ‘에너지 손실’, ‘눈부심에 따른 운전자·보행자 위험’ 등을 먼저 꼽았다.

이은일 교수는 “우리나라 빛 공해 조도(밝기) 기준이 주거지역의 경우 10룩스(lux)인데, 5lux에서도 수면장애 등 건강 피해가 나타나는만큼 기준을 강화해야한다”고 제안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