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배양 줄기세포주사 관절염 효과

무배양 줄기세포주사 관절염 효과

입력 2013-02-18 00:00
업데이트 2013-02-18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치료환자 2년여 추적관찰 통증정도 평균 60% 개선

지방에서 추출한 자가 줄기세포를 따로 배양하지 않고 그대로 주사해도 퇴행성 관절염 치료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무릎 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지방줄기세포와 PRP의 효과를 다년간 추적 관찰한 임상결과가 발표된 것은 처음이다.

관절전문 연세사랑병원(원장 고용곤) 연골재생·세포치료 연구소는 남자 6명 등 18명의 퇴행성 관절염 환자에게 자신의 지방에서 뽑아낸 중간엽 줄기세포와 혈소판 풍부혈장(PRP)을 함께 주입한 뒤 2년여를 관찰한 결과, 통증지수는 줄고 관절 기능은 크게 향상됐다고 최근 밝혔다. 중간엽 줄기세포는 인체의 다양한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는 줄기세포로, 이번 임상에서는 환자의 무릎관절과 엉덩이 지방에서 추출한 줄기세포를 배양하지 않고 무릎에 주사했으며, PRP는 환자의 혈액에서 혈소판이 풍부한 혈장만 분리해 환자에게 주사하는 방식을 적용했다.

그 결과, 환자들의 무릎관절 통증은 줄기세포 주입 2년 후에 평균 60%가 개선됐으며, 무릎 기능은 평균 83%가 향상된 것으로 평가됐다. 자기공명영상(MRI) 검사에서는 손상된 연골의 재생 효과도 관찰됐다. 관절의 통증과 강직도를 0~100점으로 수치화한 ‘WOMAC’ 점수가 수술 전 평균 49.9점이던 것이 1년 후 38.3점, 2년 후에는 30.3점으로 줄었다. 무릎을 MRI로 촬영해 악화 상태를 수치화한 ‘WORMS’ 점수도 수술 전 60.3점에서 48.3점으로 떨어졌다. 이 연구논문은 국제학술지 ‘관절경검사’(Arthroscopy) 최근호에 실렸다.

고용곤 원장은 “이 임상결과가 향후 무릎 퇴행성 관절염 환자의 치료법 선택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며 “올해 안에 퇴행성 관절염의 새로운 치료법으로 정식 승인을 받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3-02-18 2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