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 선택과목 대신 ‘심화수학’ 검토… “상위권大 필수 땐 사교육 유발 우려” [대입제도 개편]

수학 선택과목 대신 ‘심화수학’ 검토… “상위권大 필수 땐 사교육 유발 우려” [대입제도 개편]

김주연 기자
김주연 기자
입력 2023-10-11 01:31
업데이트 2023-10-11 08:1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공계 학력 저하 심해질 우려에
미적분Ⅱ·기하 절대평가 신설안
2외국어처럼 가산점 형태 활용
일각 “수학만 도입 맞는지 의문”


이미지 확대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가 실시된 6일 경기 수원 효원고등학교에서 3학년 학생들이 시험지에 이름을 적고 있다.  2023.9.6 연합뉴스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9월 모의평가가 실시된 6일 경기 수원 효원고등학교에서 3학년 학생들이 시험지에 이름을 적고 있다. 2023.9.6 연합뉴스
현재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이 치를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수학 선택과목을 없애는 대신 ‘심화수학’ 영역을 만드는 방안이 국가교육위원회에서 검토된다. 심화수학이 사실상 상위권 학생들에게 필수 응시 과목이 되면 사교육을 유발할 것이라는 시선이 만만찮다.

교육부는 ‘2028학년도 대학입시제도 개편 시안’에서 첨단 분야 인재 양성을 위해 미적분Ⅱ와 기하를 절대평가하는 심화수학 영역을 신설하는 안을 검토한다고 밝혔다. 기존 이과 학생들이 대부분 응시하던 미적분Ⅱ와 기하가 수능에서 퇴출당하면 이공계 학생들의 학력 저하가 심해질 것이라는 비판이 수학계를 중심으로 제기되자 교육부가 ‘심화수학 신설안’을 꺼낸 것으로 풀이된다. 다른 진로 선택과목은 수능에서 출제하지 않기로 한 점을 고려하면 다소 이례적이다.

심화수학은 ‘의대 쏠림’ 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로도 해석된다. 공통과목 체제로 바뀌면 선택과목 간 유불리가 사라져 문과생도 의학계열을 지원할 수 있어서다.

상위권 대학들이 정시에서 자연계열 전공을 중심으로 심화수학을 반영한다면 상위권 학생들의 학습 부담은 여전할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교육부가 학부모를 상대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도 응답자의 58.2%는 심화수학 도입을 반대했다. 진학사는 “절대평가로 시행되는 심화수학의 경우 기존 제2 외국어나 한문과 동일하게 자연계열에서 가산점 형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심화수학이 실제로 신설되면 출제 범위가 축소된 과학 등의 과목도 심화 과정을 만들어야 한다는 주장이 교육 현장이나 학계에서 제기될 가능성도 있다. 김경범 서울대 서어서문학과 교수는 “수능에 출제되지 않는 수학이나 과학은 학생들이 공부를 열심히 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수능의 일관성을 고려하면 과학을 제외한 수학만 심화 과정을 도입하는 건 맞지 않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교육부는 “과도한 사교육 유발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개념 학습을 장려하는 수준으로 출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주연 기자
2023-10-11 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