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수 표준점수 ‘역대급 최고점’… 선택과목별 유불리 뚜렷해 문과생 직격탄

국·수 표준점수 ‘역대급 최고점’… 선택과목별 유불리 뚜렷해 문과생 직격탄

김기중 기자
김기중 기자
입력 2021-12-09 22:20
업데이트 2021-12-10 02: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22 수능 채점결과… 불수능 논란

이미지 확대
교육시민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 활동가들이 9일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 전체 46개 문항 중 9문항이 고교 교육과정을 벗어났다”면서 “수능도 ‘선행교육 규제법’ 적용 대상에 포함되도록 법을 고쳐 달라”고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교육시민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 활동가들이 9일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 전체 46개 문항 중 9문항이 고교 교육과정을 벗어났다”면서 “수능도 ‘선행교육 규제법’ 적용 대상에 포함되도록 법을 고쳐 달라”고 촉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9일 발표한 2022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채점 결과에 따르면 국어·수학 표준점수 최고점이 지난해보다 크게 뛰었다. 표준점수는 응시자 평균과 편차를 고려해 산출하는 점수로, 시험이 어려워 평균이 낮아지면 표준점수 최고점은 높아진다. 입시업계에서는 통상 145점이 넘으면 ‘불수능’, 135점 이하면 ‘물수능’이라 불렀다.

올해 수능 국어영역은 표준점수 최고점 149점으로, 어려웠다는 평가가 나오는 지난해(144점)보다도 무려 5점이나 높다. 역대 가장 높았던 2019학년도(150점)에 이어 두 번째다. 만점자도 28명에 불과했다. 수능 바로 직전 치른 올해 9월 모의평가의 경우 표준점수 최고점이 127점이었고 만점자가 6423명이었다. ‘널뛰기 난이도‘라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수학영역도 표준점수 최고점이 147점으로 지난해보다 10점이나 상승했다. 만점자는 2702명으로 전체 응시자의 0.63%였다. 지난해는 이과생이 주로 치른 수학 가형 만점자가 971명(0.70%)이었고, 문과생이 치른 나형은 1427명(0.53%)이었다. 만점자가 지난해보다 늘었지만 표준점수가 상승하면서 평균이 크게 하락했다. 입시업체인 진학사는 선택과목별 최고점에 대해 “문과 학생들이 주로 택한 확률과 통계는 140점, 이과 학생들이 고르는 미적분은 147점”이라고 예상했다. 이과 학생들과 문과 학생들의 격차가 크게 벌어지면서 수시모집에서 문과 학생들의 수능최저등급 확보도 대단히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지 확대
어떤 과목을 선택했느냐에 따라 유불리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지만 정작 평가원은 국어·수학영역 선택과목별 표준점수 차이는 공개하지 않았다. 강태중 평가원장은 수능 채점 결과 브리핑에서 “정보를 공개하면 (유불리에 따라) 여러 전략을 강구할 텐데 평가원은 이 점을 우려한다”고 설명했지만, 수험생들이 대입 전략을 세울 때 혼란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절대평가로 치르는 영어영역은 원점수 90점 이상으로 1등급을 받은 수험생 비율이 6.25%였다. 지난해 12.66% 대비 절반으로 줄어든 것이다. 영어 1등급 비율은 2020학년도 7.43%였다가 절대평가 도입 이후 지난해 최대를 기록했다가 올해 다시 대폭 축소되는 등 해마다 난이도가 들쭉날쭉이다. 대성학원은 “수시모집의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수험생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며 “영어 등급 간 점수 차가 큰 대학의 경우 정시에서 영어 영향력이 높아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탐구영역 1등급 컷은 사회탐구는 63∼66점, 과학탐구는 63∼68점, 직업탐구 66∼70점이었다. 사회탐구 영역에서 사회·문화와 윤리와 사상 과목이 각각 68점으로 가장 높고, 정치와 법이 63점으로 가장 낮았다. 과목별 표준점수 최고점 점수 차는 5점으로, 지난해 8점보다 좁혀졌다.

과학탐구에서는 지구과학Ⅱ(77점)가 가장 높고 물리학Ⅱ와 화학I(각각 68점)이 가장 낮았다. 과목별 표준점수 최고점 점수 차는 9점으로, 지난해 10점과 비슷했다. 과학탐구에서는 만점을 받아야 1등급인 과목이 지난해 물리학I, 물리학II 2과목이었지만, 올해는 없어 사회탐구에 비해 변별력 있게 출제된 것으로 평가된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21-12-10 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