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월 남은 수능… ‘효율적 관리’ 절실한 반수생의 국어영역 전략은

6개월 남은 수능… ‘효율적 관리’ 절실한 반수생의 국어영역 전략은

입력 2016-05-31 18:00
업데이트 2016-05-31 18: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강남하이퍼 문과기숙학원
강남하이퍼 문과기숙학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출제하는 6월 모의고사가 새달 2일 치러진다.

3월 평가원 모의고사와 달리 6월 모의고사는 재학생은 물론 재수생 및 반수생이 함께 시험을 치르기 때문에 실제 수능과 비슷한 조건에서 자신의 실력을 가늠해 볼 수 있는 기회다.

또 수능 출제기관인 평가원 주관 시험인 만큼 수능 난이도와 출제 유형을 접해볼 수 있어 수험생들에게 중요한 시험 중 하나로 꼽힌다.

대학생활과 재수생활을 동시에 하는 이른바 ‘반수생’들의 경우 6월 모의고사 결과를 바탕으로어떤 학습전략을 세우느냐에 따라 성패가 갈린다.

입시관계자들은 반수생들은 시간 투자 대비 학습 효율을 높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므로 시간 관리에 효과적인 공부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언어영역의 경우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과목이기 때문에 6월부터 본격적인 훈련이 필요하다는 조언이다.

강남하이퍼 문과기숙학원 송현욱 강사는 “수능이 얼마나 남았느냐에 관계 없이 국어영역에서 좋은 성적을 받기 위해서는 글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6월 이후 국어영역 공부는 반드시 꾸준한 독해에 대한 훈련을 위주로 해야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특히 문학의 경우 대부분의 반수생들이 시간에 쫓겨 EBS에 수록된 문학작품을 암기하는 데 집중하지만 최근 2~3년 간 수능 국어영역 현대소설, 문학, 시 등의 영역에서 EBS에 수록되지 않은 작품들이 많이 출제됐다는 점을 고려할 때 EBS만 편중된 공부를 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되지 않을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평소 기출문제에 수록된 작품을 스스로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참고 자료를 통해 자신의 부족한 독해력과 이해력을 다져가는 것이 좋다고 입을 모은다.

기출문제라고 하더라도 단순히 문제를 풀고 넘어가는 것이 아니라 작품의 내용과 연계하여 문학의 개념어를 이해하는 것도 필요하다.

간혹 국어영역을 독학하면서 잘못된 학습에 몰입하는 학생들을 볼 수 있는데, 스스로 국어 공부에 대한 관리에 자신이 없다면 이런 부분들을 잘 관리해줄 수 있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