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대졸 비율 133배 증가… 무학자 82%→ 4%로 줄어

대졸 비율 133배 증가… 무학자 82%→ 4%로 줄어

입력 2011-08-16 00:00
업데이트 2011-08-16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944~2010 해방후 달라진 교육현실

1944년과 2010년의 교육 현실은 어떻게 다를까. 1944년 전체 인구의 0.2%에 불과했던 대졸자가 2010년에는 무려 26.6%로 급증했다.





반면 1944년 전체 인구의 82.3%에 달했던 무학자(無學者)의 비율은 4.3%로 대폭 줄었다. 교육전문기업 이투스교육이 1944년과 2010년의 통계청 인구자료를 통해 학력을 비교해 얻은 결과다. 무려 66년의 시차가 존재하는 만큼 변화의 폭도 넓다.

해방 직전인 1944년 6세 이상 한국인 1776만 5791명 중 대학(전문학교 포함) 졸업자는 2만 9438명으로 전체의 0.2%에 불과했다. 4년제 대졸자 7374명 가운데 남자가 절대 다수인 7272명에 달했고, 여자는 102명에 불과했다. 2010년에는 대학 졸업자(전문대 포함)가 26.6%(1206만 2813명)로 1944년과 비교해 133배 증가했다. 학력이 가장 높은 박사 출신 대학원 졸업자도 19만 5196명에 달해 1944년의 대졸자 전체보다 많다.

반면에 1944년에는 무학이 전체의 82.3%(1964만 2775명)로 압도적 다수를 차지했다. 중졸도 1.1%로 소수에 불과했고, 초등학교 학력도(중퇴 포함)도 10.9%에 지나지 않아 일제시대 전반적으로 낮은 학력 수준에 머문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는 서당에서 공부한 학생도 9만 8122명(전체의 5.5%)이나 됐다.

반면 2010년의 무학자 비율은 전체의 4.3%(197만 1837명)로 크게 줄었다. 해방 이후 본격적으로 학교가 만들어져 근대화가 시작됐고, 1970년대 이후에는 급격한 경제 발전과 학력 수요의 증대, 1980년대 들어서는 대학 정원의 증가와 대학 진학률이 높아짐에 따라 중·고등학교는 물론 대학 졸업자도 크게 늘어났다.

연령대별 학력 정도에서도 이 같은 특성이 확인됐다. 20대 및 30대 연령층에서는 대졸자 비율이 가장 높은 반면 40대 및 50대는 대졸자에 비해 고졸자가 상대적으로 많았다. 그러나 60~70대로 거슬러 올라가면 초졸자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80대 이상은 무학자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80대 이상의 경우 일제시대 때 학교를 다닌 상황임을 감안하면 당연한 결과다.

특히 2010년 인구 통계에서 처음으로 대졸자가 전체 6세 이상 국민 중 26.6%로, 고졸자 26.1%를 앞섰다. 5년 전인 2005년 인구 통계에서는 고졸자가 27.7%로 대졸자(23.3%)를 앞질렀다.

향후 청년 세대의 대졸 비율이 80%대에 달할 것이라는 예측 상황을 고려하면 전체 국민 중 대졸자 비율은 앞으로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김효섭기자 newworld@seoul.co.kr
2011-08-16 24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