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안 김양식장 황백화 현상으로 황폐화 가속

남해안 김양식장 황백화 현상으로 황폐화 가속

최치봉 기자
입력 2022-02-04 15:12
업데이트 2022-02-04 15: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국 최대인 김 생산지인 전남 해남 연안 김 양식장 황백화 피해가 확산하고 있다.

황백화 현상은 김 엽체가 검붉은색에서 황백색으로 변하는 현상으로 수온이 정체되고 영양염이 부족할 때 생긴다.

4일 해남군에 따르면 송지, 화산, 현산면 앞바다에서 발생한 황백화는 황산면과 깊은 바다 쪽으로 빠르게 번지고 있다.

피해 규모는 2236㏊에 121억6000여만원에 이른다.

지난달 27일 조사 때보다 200㏊ 가까이 피해면적이 늘었다.

피해가 확산하고 있지만, 손을 쓸 방법이 없어 어민들은 애를 태우고 있다.

한 어민은 “김 엽체 탈색 등을 막기 위해 영양제와 유기산 활성 처리제 등을 살포하는 등 온갖 방법을 동원해 봤지만, 백약이 무효”라면서 “3월까지인 올해 김 농사는 사실상 끝났다”고 말했다.

전남도와 해남군 등 합동조사반은 식물성 플랑크톤(규조류) 대량 발생에 따라 영양염의 농도가 낮아지는 겨울적조로 황백화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추정했다.

그러나 규조류가 발생하게 된 원인은 밝혀내지 못했다.

국립수산과학원 등은 다음 주 피해 양식장을 찾아 규조류 발생 원인 등에 대한 추가 정밀 조사를 할 예정이다.

전남도와 해남군은 물김 출하조절 지원사업비와 예비비 등을 투입해 황백화 물김을 수거 폐기하고 물김 수거를 위한 어선 임차료 등을 지원할 방침이다.
해남 최치봉 기자 cbchoi@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