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 지진 여파… 울릉도 지열발전소 전면 재검토

포항 지진 여파… 울릉도 지열발전소 전면 재검토

김상화 기자
김상화 기자
입력 2017-11-27 23:08
업데이트 2017-11-28 03: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내년부터 2025년까지 건립 계획

경북도 “ 사업 전반 재협의할 것”
정부 조사 최소 1년 이상 소요
이미지 확대
지열발전소가 포항 지진을 유발한 원인일 수도 있다는 주장이 일각에서 제기됨에 따라 경북도가 울릉도 내 지열발전소 건립 계획을 전면 재검토하기로 했다.

경북도 관계자는 27일 “이번 포항 지진으로 내년부터 2025년까지 2차례(1차 2018~2020년, 2차 2021~2025년)에 걸쳐 울릉도에서 추진하려던 지열발전소(설비용량 12㎿) 건립 계획을 전면 재검토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가 지열발전소와 지진의 연관성을 규명한다니 그때까지 울릉도 지열발전소 건립 사업은 전면 보류가 불가피하다”며 “앞으로 관련 기관, 전문가들과 함께 지열발전소 건립뿐만 아니라 사업 전반에 대해 재협의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다른 관계자는 “현재로선 지열발전소와 지진과의 연관성 논란이 있을 뿐 명확한 것이 밝혀지지 않았다”면서 “하지만 당장 내년에 울릉도에 지열발전소를 지을 수는 없다”고 말했다.

이 사업은 경북도와 울릉군, 한국전력, LG CNS·도화엔지니어링이 930억원을 출자해 만든 특수목적법인(SPC)인 ‘울릉도 친환경에너지자립섬㈜’이 2025년까지 울릉도에 총 2685억원을 투입해 ‘탄소 제로섬’으로 조성하는 사업의 하나다. 앞서 2011년부터 지난해까지 지열 자원 탐사 및 개발 전문업체인 ㈜넥스지오와 전력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 용역을 의뢰, 울릉도 4곳(동·서·남·북) 땅속 1㎞에서 지열자원을 정밀탐사 결과 땅속의 온도가 국내 평균(25도)보다 최고 4배(63.5~99.2도) 가까이 높아 경제성이 충분한 것으로 확인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포항 지진’의 원인과 연관성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된 지열발전소에 대해 정밀 진단에 착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산업부 관계자는 “전문가들에 따르면 쉽지 않은 조사라 1년 이상은 걸릴 것으로 보고 있다”며 “외국에서는 2~3년 동안 조사한 사례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미 중단한 포항 지열발전소 건설은 조사가 완료될 때까지 계속 중단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울릉도 지열발전소 건립 사업도 최소 1년 이상 연기가 불가피하게 됐다. 특히 이번 정부 조사에서 지열발전소와 지진과의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판명될 경우 울릉도 지열발전소 건설 사업은 무산되거나 무기한 연기될 위기에 처할 것으로 보인다.

이로써 울릉도 친환경 에너지 자립 섬 조성 사업에 큰 차질이 우려된다. 지열발전소와 지진의 연관성 논란이 확산되면서 울릉도 주민 사이에서는 “지열발전소 건설은 안 된다”는 여론이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포항 김상화 기자 shkim@seoul.co.kr
2017-11-28 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