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녀 임금격차…대졸이 가장 크고, 나이 들수록 벌어져

남녀 임금격차…대졸이 가장 크고, 나이 들수록 벌어져

입력 2017-09-03 11:04
업데이트 2017-09-03 11: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용정보원 보고서…“결혼·출산 등 경력단절이 주원인”

남성과 여성의 학력 수준별 임금 격차는 대졸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3일 한국고용정보원이 발간한 고용동향브리프 8월호에 게재된 ‘최근 성별 임금 격차 축소 원인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대졸 여성의 시간당 임금은 남성의 70.9%로 가장 낮았다.

중졸 이하 여성의 임금은 남성의 71.3%, 고졸 여성의 임금은 73.1%로 각각 집계됐다. 대학원 졸업 이상은 83.5%로 임금 격차가 가장 적었다.

이번 보고서는 고용노동부의 지난해 고용형태별 근로실태 조사에 수록된 데이터를 분석해 나온 결과다.

특히 남녀 간 임금 격차는 나이가 들수록 더욱 벌어지는 것으로 파악됐다. 20∼24세에는 거의 차이가 없다가 세월이 지나면서 확대돼 50∼54세에 성별 임금 비율이 56.0%까지 떨어졌다.

근속 연수별로는 4년 이상∼10년 미만일 때 성별 임금 비율이 74.5%로 가장 낮았다. 고용이 안정적인 정규직 여성의 시간당 임금도 남성의 71.3%에 불과한 것으로 분석됐다.

저임금 일자리에도 남성보다 여성이 많이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체 여성 근로자 중 임금 수준 최하위권인 1∼3분위에 속하는 비율은 45.3%지만 남성은 21.4%에 그쳤다. 반면 남성의 경우 최상위인 10분위에 해당하는 근로자는 13.2%지만 여성은 고작 4.4%에 불과했다.

실제로 2015년 기준 한국 여성의 임금 수준은 남성의 63.7%에 불과하다. 이는 노르웨이(93.6%), 덴마크(92.2%), 일본(73.5%) 등 다른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들보다 상당히 낙후한 것이다.

한국고용정보원 관계자는 “성별 임금 격차의 주된 원인은 여성들이 결혼과 출산을 겪으면서 경력단절을 경험한 뒤 이전보다 조건이 열악한 일자리에 재취업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