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련병 보행로’ 앞에 두고 활쏘기 한 대령

‘훈련병 보행로’ 앞에 두고 활쏘기 한 대령

이하영 기자
입력 2017-07-09 13:16
업데이트 2017-07-09 13: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육군 논산훈련소의 한 대령이 훈련병들이 통행하는 보행로를 가운데 두고 활쏘기 연습을 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되고 있다.
국궁 활과 화살
국궁 활과 화살 사진=연합뉴스
군인권센터와 육군은 논산훈련소 제23교육연대장 김모 대령이 연병장에 과녁과 사대를 차려놓고 국궁 연습을 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9일 밝혔다.

김 대령은 주로 일과 시간인 오후 4∼5시에 국궁을 했고, 훈련병의 저녁 식사 시간인 오후 6시쯤에도 활을 든 것으로 알려졌다. 확인된 기간은 5월 중순부터 6월 초까지 약 20일이다.

김 대령이 설치한 과녁과 활을 쏘는 사대 사이에는 훈련병의 보행로가 있었다. 이 부대의 연병장은 보행로를 사이에 두고 둘로 나뉜 형태다. 김 대령은 한쪽 연병장에 사대를, 다른 쪽에 과녁을 세웠다.

식당으로 이동 시 이 보행로를 이용해야 하는 훈련병들은 과녁과 사대 사이를 지나야 했다. 김 대령은 보행로에 사람이 있을 때는 국궁 연습을 멈췄다.

그러나 군인권센터는 “사람이 있을 때 멈춘다고 하더라도 누가 급하게 뛰어가거나 갑자기 가던 길을 되돌아갈 때 활에 맞을 위험이 있다”며 “다수의 훈련병이 이를 위험하다고 생각해 센터로 제보해왔다”고 전했다.

또한 “훈련병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연대장이 도리어 훈련병들이 다니는 길목에서 활쏘기 연습을 한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일”이라고 덧붙였다.

최근 이 부대에서 훈련받은 A씨는 “보행로 양쪽의 두 연병장 모두 매우 넓은데 굳이 보행로를 사이에 둔 것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며 “개인 여가활동을 위해 군사교육 시설을 사유화한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비판했다.

A씨는“활은 총과 달라서 바람의 영향으로 사선을 벗어나 날아가 버릴 수도 있지 않냐“며 ”오히려 총보다 활이 더 위험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해당 연대가 이 사안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정황도 나왔다.

A씨에 의하면 지난달 말 훈련병을 대상으로 한 정례 감찰 설문 때 훈련병 30명 이상이 ‘활쏘기를 제재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 부대는 설문에서 제기된 시설·위생 등 다른 사안에 대해서는 훈련병들에게 비교적 자세하게 설명하고 답변했다. 하지만 유독 부대장이 관련된 활쏘기 사안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이 없었다.

육군은 “해당 연대에 국궁장이 임시로 만들어졌던 것은 맞고, 국민신문고로도 민원이 들어왔다”며 “훈련소장이 지난달 초 김 대령에게 경고하고 과녁과 사대를 철수하도록 했다”고 밝혔다.

군인권센터는 “감찰 설문의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는지부터 검토해야 할 대목”이라며 “이런 식이라면 훈련소 지휘관이 가혹 행위, 구타, 폭언 등을 했을 때 해결할 길이 없다”고 지적했다.

군인권센터는 해당 사안을 국가인권위원회에 진정할 계획이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