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스로 규칙 정하렴” 스마트폰 중독됐던 우리애가 달라졌다

“스스로 규칙 정하렴” 스마트폰 중독됐던 우리애가 달라졌다

윤수경 기자
윤수경 기자
입력 2017-01-26 21:24
업데이트 2017-01-26 21: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딸이 허구한 날 ‘방탄소년단’(아이돌 그룹)에 빠져 사는 줄 알고 ‘그만해’를 입에 달고 살았는데, 제 착각이었죠.”

송경빈(43)씨는 스마트폰을 보는 자신의 아이들에게 늘 “그만해라”, “중독된다”라고 훈계했다. 6학년 딸은 아이돌 그룹에 빠져 사는 것 같았고 3학년 아들은 게임만 하는 것 같았기 때문이다. 남매는 “친구들은 나보다 더 많이 한다”며 볼멘소리를 하곤 했다.
●방통위 ‘밥상머리 토론’ 73% 효과

그랬던 송씨의 집에 변화가 찾아온 것은 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이 하는 부모들 대상의 ‘밥상머리 인터넷교육’을 통해서였다. 저녁 식사를 하면서 아이들과 악성 댓글, 인터넷·스마트폰 사용시간 등 하나씩 주제를 정해 토론을 했다. 각자 ‘실전노트’를 만든 뒤 2주에 걸쳐 토론 결과를 적었다.

인터넷 이용시간은 이전과 비교해 큰 변화가 없었다. 하지만 아이들의 태도가 달라졌다. 밥상머리 인터넷교육을 하기 전에는 규칙을 엄마가 정하고, 그걸 지키라고 강요했지만 지금은 아이들 스스로 규칙을 정하고 지킨다. 부모에게도 변화가 찾아왔다. “아이들이 인터넷으로 뭘 하는지, 스마트폰을 왜 사용하는지를 알게 됐습니다. 막연히 아이들이 건강을 해치고 정서적으로 불안해질까 걱정했는데, 스스로 연령대에 맞는 사이트를 방문하고 교육적인 내용들도 많이 얻더라고요. 무조건 믿지 못하고 감시하는 것보다 애들을 존중하고 의견을 들어보는 과정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됐습니다.”

●부모도 아이들 뭘하는지 등 이해 계기

밥상머리 인터넷 윤리교육은 지난해 7월부터 11월까지 전국 254개 유치원과 377개 초등학교 학부모 총 5만 200여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교육에 참여한 20개교 254명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인터넷 이용 습관에 대해 73.4%(‘다소 개선’ 61.8%, ‘크게 개선’ 11.6%)가 개선됐다고 답했다.

최성준 방통위원장은 26일 “가정이나 학교에서 실용적인 효과를 낼 수 있는 생활 밀착형 인터넷 교육 프로그램의 좋은 성공 사례”라고 말했다.

윤수경 기자 yoon@seoul.co.kr
2017-01-27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