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체 말만 듣고… ‘고통’ 외면한 언론

업체 말만 듣고… ‘고통’ 외면한 언론

명희진 기자
명희진 기자
입력 2016-06-27 20:50
업데이트 2016-06-27 21: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 몇 년간 피해자의 고통을 외면했던 언론이 이제 와서 검찰이 흘리는 정보에 경쟁적으로 달려드는 게 씁쓸하죠.”

가습기 살균제 피해를 취재 중인 5년차 기자는 “2011년 8월 말 원인 미상의 폐질환이 가습기 살균제 때문이라는 정부의 발표가 나온 이후 일부 언론만 이슈를 다루다가 지난 4월 검찰 수사가 본격화되고서야 지면에 반영하기 시작했다”며 “창피하지만 이런 사실을 인정하고 자성해야 언론이 사회의 알람 역할을 되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27일 말했다.

한국언론재단의 종합뉴스 데이터베이스(DB)에서 ‘가습기 살균제’라는 단어를 포함한 기사를 검색한 결과 2013년 상반기에 218건, 2014년 상반기 155건, 2015년 상반기 118건 등이었지만 올해 상반기에는 3814건으로 15배 이상 급증했다.

1994년 가습기 살균제가 처음 나온 뒤로 이에 대한 언론의 행태는 사회적 비난을 받기에 충분하다. 그 어떤 언론도 가습기 살균제의 안전성을 의심하지 않았고, 오히려 가족의 건강을 위해서라도 적극 사용할 것을 기사와 광고로 권했다. 2004년 12월 한 종합일간지는 ‘가습기 전용 살균제를 사용하는 것도 가습기를 더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한 방법’이라는 내용의 기사를 통해 가습기 살균제를 적극 추천했고 ‘옥시싹싹 가습기 당번’과 ‘애경 홈크리닉 가습기 메이트’ 등을 소개했다. 더 큰 문제는 2011년 이후다. 원인 모를 폐 손상 질환의 원인이 가습기 살균제라는 보건당국의 조사 결과 발표가 나온 뒤에도 언론은 피해자들의 고통과 구조적 문제점을 올바로 들여다보지 않았다.

최근 언론계 내부에서 자성의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으나 언론계 내부의 반성을 넘어 지금의 언론 환경 전반을 살펴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2016-06-28 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