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과 서해 경계는 어디…한강하구 체계적관리 시급

한강과 서해 경계는 어디…한강하구 체계적관리 시급

입력 2016-03-07 10:45
수정 2016-03-07 10:4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한강하구역 오염 심화하는데 전담기관 없어

한강과 서해가 만나는 ‘한강하구역’을 전담관리하는 기관이 없어 수질오염 예방이나 생태계 보존 활동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7일 인천발전연구원에 따르면 현재 하천법에는 하천과 바다 경계만 구분하고, 연안관리법은 연안해역과 연안육역만 구분하고 있다.

하천과 해수가 혼합되는 하구역에 대한 별도의 구역 경계는 법령으로 정해놓지 않았다.

하구역 경계가 모호하다 보니 하구역을 전담 관리하는 기관도 없다.

인천시는 체계적인 수질생태관리가 필요하다고 보고 한강하구역센터 설립을 추진하고 있지만 예산과 인력 확보 방안 등 구체적 단계까지 이르진 못했다.

이런 가운데 인천 한강하구역 오염은 심화하고 있다.

한강 중상류인 서울·경기 지역에 오염원이 밀집돼 있고 하천 자정능력을 초과해 오염물질이 유입돼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수질이 악화하는 경향을 보인다.

인천 연안의 수질평가지수는 최근 9년간 2010년을 제외하고 3등급에서 5등급을 기록할 정도로 열악한 실정이다.

인천발전연구원은 한강하구역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구역 범위부터 명확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인천발전연구원이 염분과 공간범위를 고려해 제시한 한강하구역은 인천대교-영종도-신도-시도-모도-장봉도-주문도-볼음도-말도까지 이어지는 지역이다.

이 하구역에는 한강 지류에서 10km 남쪽에 떨어져 있는 인천항 일대도 포함됐다 .

연구원은 연안부두 염분이 평균 28.81psu(Practical salinity unit·실용염분)로 일반적인 바닷물 염분 35psu보다 낮은 것은 한강 담수 유입 때문으로 보고, 인천항도 한강하구역에 포함했다.

연구원은 군사보호구역으로 지정된 한강하구역 대부분 지역이 다양한 동식물의 서식처로서 생태적 가치가 매우 높은 곳이라며 체계적인 관리가 시급하다고 강조한다.

김성우 인천발전연구원 연구위원은 “수도권 지자체와 시민환경단체 등 한강하구역 이해당사자가 참여하는 한강하구역관리협의회를 구성, 하구역의 수질생태관리 정책을 강화해야 할 것”이라고 제시했다.

연합뉴스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1월 5일로 다가온 미국 대선이 미국 국민은 물론 전세계의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 있습니다. 민주당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 공화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각종 여론조사 격차는 불과 1~2%p에 불과한 박빙 양상인데요. 당신이 예측하는 당선자는?
카멀라 해리스
도널드 트럼프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