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 8.4개월 만에 취직… 자존감 높을수록 빨랐다

평균 8.4개월 만에 취직… 자존감 높을수록 빨랐다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16-03-01 22:46
업데이트 2016-03-02 01: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대졸자 취업 34개월 추적조사… 서울지역·4년제·고학점의 한숨

34개월 지나도 10%는 미취업… 서울소재大 평균 10.9개월 ‘최장’
전문대, 4년제보다 2개월 빨라

대학 졸업자를 3년 가까이 추적 조사한 결과 실제 취업에 걸리는 기간이 평균 8.4개월로 나타났다. 미취업 기간이 길수록 취업에 성공할 확률이 점점 더 낮아져 10명 중 1명은 34개월이 지나도 취업하지 못했다. 또 대졸자의 ‘자존감’이 취업 성공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청년들의 성공 의지를 북돋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1일 이영민 숙명여대 부교수팀의 ‘대학졸업자의 미취업 지속기간과 미취업 탈출 결정 요인’ 보고서에 따르면 졸업 전이나 졸업과 동시에 취업에 성공한 대졸자는 각 계열을 망라한 조사 대상자 426명의 34.7%인 148명이었다. 연구팀은 2012년 2월 졸업자의 취업 여부를 34개월간 추적 조사했다.

전체 대졸자의 과반수가 취업하는 데 걸리는 기간은 2개월, 70%는 졸업 후 8개월 이내였다. 졸업 1년이 지나면 전체의 75%가 취업에 성공했지만 9.6%인 41명은 연구 종료 시점인 34개월이 지나도 여전히 미취업자로 남았다.

남성은 취업까지 평균 6.7개월이 소요된 반면 여성은 10.2개월이나 됐다. 여성은 학점에 신경을 많이 쓰는 반면 남성은 자격증 취득, 직업훈련, 취업박람회 참여, 취업부탁 등 취업준비행동에서 더 적극적인 특성을 보였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전문대가 6.8개월, 4년제 대졸자는 8.8개월이었다. 전공별로 보면 공학·의약·자연·교육·사회·인문·예체능 순으로 취업 준비 기간이 짧았다. 학교 소재지별로는 서울이 평균 10.9개월로 가장 길었고 호남(10.3개월), 충청(8.3개월), 경상(7.8개월), 경기·인천·강원(6.3개월) 순이었다. 학점도 100점 만점에 평균 90점 이상 집단은 10.0개월인 데 반해 70~80점 미만은 6.5개월로 오히려 학점이 높을수록 취업 준비기간이 길었다. 연구팀은 “학점이 높으면 더 나은 일자리를 원하기 때문에 오랜 기간 취업을 준비하게 된다”고 분석했다.

취업기간이 줄어든 요인 중 중요한 부분은 ‘자존감’이었다. 자존감을 5점 척도로 분석한 결과 3점 이하는 평균 10.0개월, 4점은 9.0개월, 5점은 4.3개월로 큰 격차를 보였다. 연구팀은 “무조건적인 스펙 쌓기와 취업준비 양적 증가는 취업 성공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며 “청년들이 작은 성공을 경험하게 하고 스스로에 대한 신뢰를 강화시킬 수 있는 컨설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6-03-02 1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