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산불 4월에 최다…절반은 담뱃불이 원인”

“서울 산불 4월에 최다…절반은 담뱃불이 원인”

입력 2015-04-02 09:32
업데이트 2015-04-02 09: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근 5년간 서울에서 발생한 산불은 상춘객이 몰리는 4월에 가장 많이 발생했고, 산불원인의 절반은 담뱃불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소방재난본부는 이같은 내용을 포함해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서울에서 발생한 총 252건의 산불을 분석한 결과를 2일 발표했다.

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월별로는 4월에 48건(19.0%)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으며, 3월 47건(18.7%) 2월 41건(16.3%) 순이었다. 2∼4월의 화재건수가 전체의 절반을 넘는 54%를 차지했다.

원인별로는 담배꽁초가 115건(45.6%)으로 절반 가까이 차지했다. 그다음으로는 불장난 49건(19.4%), 방화의심 31건(12.3%), 쓰레기소각 16건(6.3%)이 뒤를 이었다.

요일별로는 일요일이 57건(22.6%)으로 가장 많이 발생했고 토요일에는 41건(16.3%)의 산불이 일어났다.

최근 5년간 산불로 서울에만 8만8천223㎡의 산림이 소실됐다. 일반 축구장의 약 18배에 이르는 산림면적이 소실된 셈이다.

권순경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장은 “산불은 대부분 부주의에 의해 발생하는 만큼 등산객, 나들이객들의 주의를 당부드린다”며 “산불을 발견하면 즉시 119에 신고하고 안전한 저지대로 대피해달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