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34차 수요집회 “日과거부정 시도, 전세계가 분노”

1134차 수요집회 “日과거부정 시도, 전세계가 분노”

입력 2014-07-09 00:00
업데이트 2014-07-09 16:5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외롭지 않은 소녀상
외롭지 않은 소녀상 9일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제1134차 정기수요집회에서 소녀상 주위로 평문여고생들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자리에 앉아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고운발 옆에 놓인 꽃신’
’고운발 옆에 놓인 꽃신’ 9일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제1134차 정기수요집회에서 소녀상 발 아래 누군가가 준비한 꽃신이 놓여 있다.
연합뉴스
9일 오후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1천134차 수요집회에서는 고노담화 검증 및 집단자위권 행사를 허용하는 방향으로 헌법해석을 변경한 일본의 최근 행태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터져나왔다.

윤미향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대표는 “군 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하고 사죄한 고노담화를 부정하려고 했던 일본 정부의 행태에 미국 하원의원들이 강력히 항의하고 있고 세계 각국이 분노하고 있다”며 “일본 정부는 거꾸로 가려 할수록 전쟁범죄가 낱낱이 드러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 대표는 “일본은 다시 집단자위권 내각 결의를 통해 전쟁국가로 나서고 있다”며 “우리가 한국 정부를 움직이고 국제사회가 전쟁범죄를 올바르게 해결하도록 시민들이 평화의 목소리를 만들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작년 7월 30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글렌데일시(市)에 설치된 위안부 소녀상인 ‘평화비’를 소개하며 “일본군 위안부 피해를 알리고 평화의 메시지를 전하는 평화비가 유럽과 아시아 등 세계 곳곳으로 퍼져나가고 있다”고 전했다.

’통역을 해서라도 들어야죠’
’통역을 해서라도 들어야죠’ 9일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제1134차 정기수요집회에서 한 외국인 참가 여성이 윤미향 정대협 대표의 경과보고를 통역기를 통해 듣고 있다.
연합뉴스
집회에 참석한 캄보디아인 소반 랏바타이(25·여)씨는 “위안부 문제는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라 인권에 관한 전세계적인 문제”라며 “정의와 평화를 위해 용기를 내신 할머니들이 진정한 슈퍼우먼이다”라고 말했다.

한국여신학자협의회 주관으로 열린 이날 집회에는 위안부 피해자인 김복동(87)·길원옥(89) 할머니와 학생, 시민단체 회원 등 300여명이 참석했다.

’정의,정의,정의... 정의’
’정의,정의,정의... 정의’ 9일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제1134차 정기수요집회에서 한 외국인 참가 여성이 구호가 적힌 나비 피켓을 머리에 쓰고 있다.
연합뉴스
이화여대 아시아여성학센터 내 프로그램을 수강하고 있는 20여명의 외국인들도 ‘NO MORE WAR’(더 이상 전쟁은 안 된다), ‘JUSTICE”(정의)라고 쓰인 피켓을 들고 함께 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