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큰빗이끼벌레 “다 자라면 축구공 크기로” 환경부 “흉측해도 독 없어”

낙동강 큰빗이끼벌레 “다 자라면 축구공 크기로” 환경부 “흉측해도 독 없어”

입력 2014-07-07 00:00
업데이트 2014-07-07 15: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큰빗이끼벌레. 광주환경운동연합 제공
큰빗이끼벌레. 광주환경운동연합 제공
낙동강 큰빗이끼벌레 “다 자라면 축구공 크기로” 환경부 “흉측해도 독 없어”

금강에 이어 낙동강에서도 ‘큰빗이끼벌레’가 등장했다는 시민단체 주장이 제기됐다.

6일 대구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지난 5일 대구 강정고령보 인근 죽곡취수장에서 성인 손 한 뼘 크기의 큰빗이끼벌레가 발견됐다. 대구환경운동연합 관계자는 “녹조와 마찬가지로 수질 오염의 증표로 볼 수 있는 큰빗이끼벌레가 발견됐다는 것은 이곳 역시 오염되고 있다는 증거”라고 설명했다.

큰빗이끼벌레는 북미지역에서 유래된 외래종으로, 1㎜ 미만의 개충들이 응집해 군체를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커다랗고 흉측한 해삼이 부풀어오른 모습을 하고 있다. 99.6%가 물로 구성돼 있고 군체가 커지면 축구공만한 크기가 된다.

우리나라에는 11종이 민물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청정수역에서도 발견된다. 다만, 주로 정체수역에서 발견돼 물살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고됐다. 4대강 보 설치로 강의 유속이 크게 느려진 것과 연관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는 이유다.

그러나 환경부 측은 지난 4일 공식블로그를 통해 “큰빗이끼벌레는 독성이 없기 때문에 자연생태에 큰 피해를 주지 않는다”고 해명했다.

한편 대구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4대강 조사단과 4대강 범대위 등은 7일까지 낙동강 중상류 지역에서 녹조발생현황과 큰빗이끼벌레 등 생태계 점검 현장조사를 벌일 방침이다.

네티즌들은 “큰빗이끼벌레, 정말 독성이 없을까. 외래종인데 불안하네”, “큰빗이끼벌레, 환경부 말대로라면 물에 그냥 있어도 되는 건가”, “큰빗이끼벌레, 모양 자체 흉측해서 너무 징그러워”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