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여파 확산…축산농가 경영난에 ‘아우성’

AI 여파 확산…축산농가 경영난에 ‘아우성’

입력 2014-02-06 00:00
업데이트 2014-02-06 15: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50대 양계농 자살…”판로 막히자 극단의 선택”농가 “이동제한으로 도산 위기…전량수매해야’

토종닭을 제때 출하하지 못해 생계난을 호소하던 50대 양계농이 자살하는 등 AI (조류인플루엔자) 여파가 장기화하면서 닭과 오리 농가의 경영난이 극에 달하고 있다.

정부가 해당 닭과 오리를 수매하던지, 아니면 대규모 경영안정자금지원 등 특단의 대책을 하루속히 내놓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6일 새벽 전북 김제시 금구면에서 양계농 봉모(53)씨가 농약을 마시고 자살을 기도,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결국 숨졌다.

경찰 조사결과, 봉씨는 김제에서 토종닭 3만5천여 마리를 기르는 양계농으로, AI 발생 이후 출하와 입식(병아리를 농장에 들이는 과정)을 하지 못해 많이 고민한 것으로 드러났다.

토종닭은 보통 입식을 한 뒤 60∼70여일이 지나면 출하해야 하지만 봉씨의 닭 중 일부는 80∼90일을 넘긴 것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봉씨의 형(55)은 “동생이 ‘며칠 전에도 닭을 제때 출하하지 못해 망하게 생겼다’며 처지를 비관하는 말을 했다”면서 “최근 재래시장에서도 생닭 거래가 한동안 금지되는 바람에 동생이 오랫동안 닭을 내다 팔지 못했다”고 밝혔다.

AI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우려했던 일이 현실로 나타난 것이다.

닭과 오리의 수요가 뚝 떨어져 판로를 찾지 못하는 일반 가금류 농가들이 발을 동동구르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고창ㆍ부안군, 정읍시 등 AI 확진 판정을 받은 농가의 반경 3㎞내 닭ㆍ오리 농가들은 입식과 출하마저 못해 도산 위기에 처했다.

이런 상황에서 닭 사료값이 일반 육계에 비해 배 이상 소요되는 토종닭 농가의 경영난은 더욱 심화 할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정읍시 영원면에서 토종닭 11만여마리를 키우는 길모(58)씨는 “지난달 26일부터 이동제한에 걸려 다 큰 닭을 내다 팔지못해 죽을 맛”이라면서 “더는 버틸 수 없는 한계까지 왔다. 정부에서 수매대책을 세워주지 않으면 우린 그대로 죽을 수 밖에 없다”며 깊은 한숨을 내쉬었다.

출하는 고사하고 하루 1천500여만원에 달하는 사료값을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고 길씨는 하소연했다.

그는 “토종닭은 몸집이 커질수록 사료도 많이 먹는데다 제때 출하하지 못하면 질겨져 상품성이 떨어진다”면서 “AI에 걸리지도 않았는데 발생지로부터 위험지역(반경 3㎞)에 있다는 이유만으로 차량이동을 막으면 어떻게 하란 말이냐”며 울분을 터뜨렸다.

길씨처럼 AI에 감염되지 않았는데도, 반경 3㎞안에 있다는 이유로 이동제한조치를 받은 닭과 오리 농가는 부안과 정읍지역내 농장 30여곳에 달한다. 사육중인 닭과 오리는 100여만마리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사고가 터진 김제시 금구면 지역 역시 8개 닭 농가에서 27만여마리, 4개의 오리 농가에서 8만여마리를 사육중이다. 비록 AI발병지와 많이 떨어져 이동제한을 받지는 않지만 이들 농가들은 “이미 닭과 오리 소비시장이 꽁꽁 얼어붙어서 AI 사태가 끝난다 해도 회생할 길이 없다”며 볼멘소리를 했다.

김제시 금구면사무소의 한 관계자는 “관내 가금류 농가들이 쓰러지기 일보직전이어서 옆에서 보기에도 매우 안타깝다”면서 “이들의 경영난을 해소하는 길은 정부에서 전량 수매을 해주는 길밖에 없는 것 같다”고 말했다.

정읍시 이평면 오리 농가의 주인 김모씨는 “AI 터질 때마다 정부는 차단방역이다 하면서 호들갑을 떨지만 이런 와중에 우리같은 선의의 피해자만 속수무책으로 당하곤 한다”면서 “정부가 하루빨리 전량수매를 해야 한다”고 강하게 주장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