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일 철도파업 장기전 채비 갖추나

코레일 철도파업 장기전 채비 갖추나

입력 2013-12-25 00:00
업데이트 2013-12-25 13: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관사·열차승무원 500여명 기간제 채용 차량 정비 외주, 열차 운행 단계별 감축운행

코레일이 노조의 파업 장기전에 대비, 속속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역대 최장기 3주째 이어지는 철도파업으로 국민 불편과 물류소송의 차질로 산업계에 피해가 확산하는 등 국민경제 전반에 막대한 손실이 빚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최연혜 코레일 사장은 지난 23일 기자회견을 열고 “파업 장기화에 따라 비상근무로 지원 나갔던 내부인력도 돌아와 정상적인 업무를 해야 하는 상황을 고려할 때 현장 인력 충원은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인턴 교육 이수자와 퇴직 1∼2년 경력자 가운데에서 기관사 300여명, 열차승무원 200여명을 기간제로 채용하기로 했다.

이들은 소정의 교육을 마치면 내년 초 현장에 투입할 수 있을 것으로 코레일은 전망했다.

새로 투입되는 기관사는 운행률이 30%대로 떨어진 화물열차에 주로 배치되고 열차 승무원은 피로가 누적된 대체 인력 승무원을 대신하게 된다.

기관사가 들어오면 화물열차 운행률을 30%에서 39%(84→110회)로 늘릴 수 있을 것으로 코레일은 내다봤다.

차량 정비 등을 외주에 맡기는 방안도 계획하고 있다.

파업참가 노조원의 복귀상황을 고려해 열차 운행률을 더 높일 수 있도록 추가적인 인력 충원계획과 차량정비 등에 대한 외주화 계획을 수립할 방침이다.

차량정비 외주화 계획은 파업 이전에도 일부 진행 중이었다. 경장비는 이미 하고 있고, 중장비는 한 달 후에 외주 용역을 의뢰할 계획이다.

앞서 코레일은 지난 18일 장기파업에 대비 본사 간부 및 지역 본부장을 긴급 소집해 열차 운송계획도 세웠다.

오는 30일 파업 4주차부터는 필수유지 수준(KTX 56.9%, 무궁화호 63%, 새마을호 59.5%, 화물열차 0%)으로 운행하되 화물열차 운행만 20% 수준으로 유지하기로 했다.

대체수송 수단이 없는 시멘트 수송 등에 우선하여 활용하려는 조치다.

파업 참가 노조원에 대한 징계절차도 시작됐다.

코레일은 파업을 주도하는 고소·고발자 191명 가운데 해고자 46명을 제외한 145명에 대한 징계절차에도 착수했다.

이들의 조사 결과가 끝나는 데로 징계위원회를 열고 중징계(파면, 해임, 정직) 처분을 할 방침이다.

파업 중 징계절차를 진행하는 것은 이번 파업이 장기화하면서 파업참가 노조원들에 대한 심리적 압박 수단으로 보인다.

파업에 참가한 직위해제자가 업무에 복귀하면 노조 직책 및 가담 정도에 따라 복직 시기를 차별화하기로 했다.

파업 주동자나 선동자는 업무에 복귀하더라도 징계처분 시까지 직위해제를 유지하기로 했다.

그러나 단순 가담자는 업무복귀 신청서를 작성한 이후 이틀 동안 복귀프로그램을 운용하고서 직위해제에서 복직시키고 3일째부터 업무에 배치할 방침이다.

’집단 따돌림 보호프로그램’도 마련됐다.

조기 복귀한 직원은 노조간부와 해고자의 폭언 및 파업가담 강요 등을 받지 않도록 사업장 내외 특정 장소에서 대기할 수 있도록 한 뒤 지장이 없다고 판단되면 업무에 투입하도록 했다.

최연혜 코레일 사장은 “앞으로 언제 끝날지도 모르는 (철도파업) 상황에서 ‘안전운행’이 가장 중요하다”며 “연말연시 대 수송 기간에 국민의 불편 등이 없도록 장기 대책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