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문화단체 “암각화 보존 정부안에 일단 환영”

울산 문화단체 “암각화 보존 정부안에 일단 환영”

입력 2013-06-16 00:00
업데이트 2013-06-16 14: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부가 ‘이동식 투명댐’을 활용한 반구대 암각화(국보 제285호) 보존 방안을 내놓자 울산지역 문화재 관련 단체는 환영했다.

울산시 역시 ‘대타협의 합의안’이 마련됐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정부는 16일 울산시 울주군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전면에 이동과 높이 조절이 가능한 투명 강화 플라스틱을 설치하는 ‘카이네틱댐’(Kinetic Dam) 방안을 제시했다.

울산상공회의소, 문화원, 봉사단체 등으로 구성된 반구대암각화보존대책특별위원회는 정부 발표가 나오자 “암각화를 일단 물속에서 건져낼 수 있다는 점에서 찬성한다”고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변양섭 반구대암각화보존대책특별위 위원장은 “울산시가 제시한 생태제방 안이 가장 좋다고 여전히 생각하기 때문에 아쉬운 부분은 있다”며 “울산지역 식수원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정부가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반구대 알리기 역할을 담당해온 반구대포럼은 “정부 안이 최적의 안이라고 생각한다. 우리가 바라는 안을 정부가 제시했다”며 적극적으로 찬성했다.

장상태 반구대포럼 대표는 “이동식 투명댐을 설치해 암각화를 보존하면 다른 나라 학자들에게 어느 정도 ‘할 말’이 생긴다”며 “물 부족의 확실한 대책이 나오면 ‘이동식 투명댐’을 해체하면 되고 유네스코 등재에도 무리가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반구대포럼은 이동식 투명댐 설치 과정에서 자연경관을 해쳐서는 안 되며 투명댐 설치 이후에도 암각화 보존을 위한 영구적인 대책이 있어야 한다고 제시했다.

울산시는 “10년 만의 산고 끝에 논란의 종지부를 찍고 대타협의 합의안이 마련됐다”며 환영했다.

시는 이동식 투명댐이 일단 암각화를 물에서 건져놓고 영구적인 보존방안을 논의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시는 “댐 건설 과정에서, 그리고 건설 이후에도 암각화 안전문제에 철저한 검증이 필요하다”며 “국무조정실, 문화재청과 충분히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