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산~한강 녹지축 잇는다

남산~한강 녹지축 잇는다

입력 2011-10-11 00:00
업데이트 2011-10-11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용산공원 종합기본계획 확정 복합지구 용적률 40~50층

서울 용산 미군기지 자리에 들어설 용산공원의 큰 그림이 나왔다. 단절된 남산과 한강을 녹지와 수경축으로 잇고, 복합시설지구에는 고층 빌딩들이 들어선다.

이미지 확대
국토해양부는 이 같은 내용의 용산공원정비구역 종합기본계획을 11일 확정·고시한다고 10일 밝혔다. 지난달 29일 제7차 용산공원조성추진위를 열어 심의한 내용을 확정한 것이다.

이번 계획은 중장기 발전안에 초점을 맞췄다. 환경 치유와 재원 마련 등의 이중고를 풀기 위해 단계적인 개발안에 무게를 뒀다.

우선 도심의 허파 기능을 담당할 용산공원조성지구(243만㎡)는 단절된 남북 녹지축과 수체계를 복원하는 데 활용된다. 남산과 한강을 잇는 생태축공원(106만㎡), 문화유산공원(30만㎡), 관문공원(17만㎡), 세계문화공원(25만㎡), 놀이공원(33만㎡), 생산공원(32만㎡) 등 여섯 가지 단위공원으로 나뉜다. 공원 내 건폐율은 10% 이내로 제한된다.

캠프킴·유엔사·수송부 등 복합시설조성지구 18만㎡는 일반상업지역으로 용도가 바뀐다. 용적률이 최대 800% 허용돼 40~50층 높이의 호텔, 컨벤션센터, 상가·오피스, 주상복합아파트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공원 개발은 3단계로 나뉜다. 1단계(2017~2019년)는 자연상태 회복에 방점이 찍혔다. 2단계(2020~2023년)는 공원 내 녹지와 수체계 복원이 목적이다. 3단계(2024~2027년)는 남산~공원~한강의 녹지축을 연결하는 주변 개발로 마무리된다. 총사업비는 1조 2000억원으로 토양정화 등에만 1030억원이 투입될 전망이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1-10-11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