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있는’ 부실…코레일, 선로전환기 선정때 검증 안해

‘이유있는’ 부실…코레일, 선로전환기 선정때 검증 안해

입력 2011-06-22 00:00
업데이트 2011-06-22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부고속철도 2단계 구간(동대구~부산)에 설치된 선로전환기(76대)의 잇단 장애 발생은 ‘예고된 부실’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지난해 11월 개통 이후 고장이 끊이지 않았지만 시설주체인 철도시설공단과 운영주체인 코레일은 선로전환기 기종 선정에 있어 치밀한 검증을 하지 않았던 것으로 파악됐다. 선로전환기는 열차 진로를 바꾸는 분기기를 작동시키는 장치로 오작동하면 열차가 탈선할 수 있다.

21일 철도업계에 따르면 철도시설공단은 2007년 감사원에서 분기기 기종 선정작업을 재검토하라고 통보하면서 2008년 6월 재검토를 거쳐 당초 설계대로 분기기로 독일제인 BWG를 확정했다. 이후 선로전환기는 그해 9월에 구매대상 후보로 2개 기종(오스트리아의 하이드로스타와 독일의 S700K)이 결정됐고 2009년 1월 하이드로스타와 계약, 첫 납품이 같은 해 8월에 이뤄졌다. 2010년 5월까지 공사를 마쳐야 하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선정 작업은 속전속결로 진행됐다.

콘트리트 궤도구간인 경부고속철도 2단계 구간에서 검증된 시스템은 ‘분기기는 BWG-전환기는 독일제인 S700K’였다. 하지만 유압식에, 300㎞ 운행경험조차 없는 하이드로스타를 적용한 ‘한국형’ 분기기가 등장한 것이다. 하이드로스타 선정에는 코레일의 입장이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코레일은 S700K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피력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검증받지 않은 하이드로스타를 반대하지 않았다.

정부대전청사 박승기기자 skpark@seoul.co.kr



2011-06-22 9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