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2011학년도 서울대 합격자 분석(하)] 16개 시·도 합격자 배출 현황

[2007~2011학년도 서울대 합격자 분석(하)] 16개 시·도 합격자 배출 현황

입력 2011-02-24 00:00
업데이트 2011-02-24 0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표1 : 서울대 고교별 합격자 수 (가나다순①)

※표2 : 서울대 고교별 합격자 수 (가나다순②)

※표3 : 서울대 고교별 합격자 수 (합격자 순)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지난 5년 동안 서울대 합격자가 가장 많이 나온 지역은 단연 서울이었다. 서울은 이 기간에 전체 서울대 합격자의 36.2%를 배출했다. 서울대 합격생 3명 가운데 한명은 서울 출신인 셈이다.

경기도 역시 5년째 2위 자리를 지켜왔다. 두 지역을 합친 수도권의 서울대 합격자 수는 전체 합격자의 절반을 넘는다.

서울신문이 ‘2007~2011학년도 서울대 합격자 지역별 현황’을 분석한 결과 서울대 합격생의 수도권 집중 현상이 매년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집중·특목고 유치 영 향”

서울은 최근 5년 동안 6080명의 합격자를 배출했다. 같은 기간 전체 서울대 합격자 1만 6792명의 36.2%에 해당한다. 2007년 전체 합격자의 36.5%를 기록한 데 이어 2008년에는 37.6%까지 올랐다가 2009년과 2010년에는 두 해 연속으로 감소했지만 2011학년도에는 다시 0.7%포인트가 올라 반전에 성공했다. 같은 기간 경기도는 2730명의 합격자를 배출해 전체의 16.3%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수도권의 전체 서울대 합격자 수는 2007년 51.1%에서 올해 53.8%로 2.7%포인트 증가했다.

●광역시 줄고 도 지역은 늘어

반면 같은 기간 부산(7.4%→6.2%), 인천(4.6%→3.7%), 대구(6.4%→4.8%), 대전(4.0%→3.5%) 등 광역시는 합격자 비율이 줄어들었고 경남(4.2%→4.5%), 전북(3.3%→3.4%), 충남(2.7%→3.0%), 전남(1.8%→2.4%) 등 도지역에서는 지역균형선발 등에 힘입어 합격자가 늘어났다.

이종서 이투스청솔 교육평가연구소장은 “서울과 경기 지역 합격자가 매년 늘어나는 이유는 인구 자연 증가분과 특수목적고교의 합격자 상승과 관계가 깊다.”고 말했다.

2011년 기준으로 서울에는 외국어고 6곳, 과학고 3곳, 예술고 5곳 등 14곳의 특목고가 있고 경기 지역에도 2006년 3곳이던 외국어고가 5년 만에 9개로 급증했다. 전국 단위의 선발권을 가진 특목고가 인재를 다른 지역에서 블랙홀처럼 빨아들인 결과 인구 이동을 부추겼고 결국 수도권 출신 학생의 서울대 집중 효과를 이끌었다는 설명이다.

이 소장은 “정원의 30%를 지역균형 선발로 뽑는 서울대가 이 정도 수준이라면 연세대와 고려대 등 상위권 대학의 수도권 출신 학생 집중 현상은 더욱 심각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재헌기자 goseoul@seoul.co.kr
2011-02-24 2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