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구독률·열독률 하락 지속

신문 구독률·열독률 하락 지속

입력 2010-10-21 00:00
업데이트 2010-10-21 13: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문 구독률이 해를 거듭할수록 하락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1일 한국광고주협회가 서울 조선호텔에서 열린 ‘2010 한국광고주대회’ 10주년 특별세미나에서 발표한 미디어 이용 행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돈을 내고 신문을 보는 가구 비율을 뜻하는 신문 구독률은 올해 29.5%를 기록했다.

 2001년 51.3%,2006년 34.8%,지난해 31.5%였던 신문 구독률은 올해에도 하락세를 지속했다.

 장소와 관계 없이 1주일간 2분 넘게,적어도 1건 이상의 기사를 읽는 비율을 의미하는 주간 신문 열독률도 46.4%로,2001년 69.0%,2006년 60.8%,지난해 55.8%에서 더 내려갔다.

 이 조사는 지난달 전국 만 18세 이상 79세 미만의 성인 남녀 1만명을 대상으로 1대1 면접 방식으로 진행됐다.

 TV 시청 방식은 케이블TV(85.7%),IPTV(7.3%),위성방송(5.7%),지상파 TV만 시청(4.4%) 등 순이었고 디지털TV 보급률은 작년보다 12.9% 증가한 50.8%에 달했다.

 조사 전날 하루 5분 이상,하나 이상의 TV 프로그램을 본 채널의 비율을 의미하는 방송채널벌 개인 시청률은 KBS(67.2%),MBC(56.7%),SBS(46.9%),YTN(11.1%),OCN(4.3%) 등 순으로 집계됐다.

 인터넷 시작 페이지는 네이버(67.4%),다음(24.2%),네이트(4.0%) 등 포털사이트를 쓰는 경우가 97.4%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일주일간 이용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묻자 트위터(4.8%),미투데이(3.3%),페이스북(1.9%),요즘(0.7%),토씨(0.3%) 등의 답변이 나왔다.

 라디오 청취율은 지난해보다 4% 포인트 감소한 24.1%였고 잡지 구독률은 3.2%로 매우 낮았다.

 휴대용 디지털미디어 기기의 개인별 보유율은 MP3가 19.9%로 가장 높았고 스마트폰(6.1%),PMP(2.7%) 등이 뒤를 이었다.

 스마트폰 소지자의 경우,사용 기간이 3개월 이내 30.7%,3∼6개월 이내 29.5%,6개월∼1년 이내 28.0% 등으로 나타나 최근에 구매한 경우가 대다수를 차지했다.

 날씨(32.4%)와 인터넷(31.6%),게임(28.1%),뉴스·방송(25.9%),음악·동영상·VOD(24.4%),일정관리(21.8%) 등이 주로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으로 꼽혔다.

 가장 영향력이 큰 매체를 고르는 질문에는 KBS(53.9%)와 MBC(22.6%),네이버(8.8%),SBS(6.4%),조선일보(2.3%),다음(1.5%),YTN(1.4%) 등 순으로 응답했다.

 일상생활에 가장 밀접한 미디어는 TV(65.6%),인터넷(26.2%),신문(3.8%),라디오(2.7%),휴대용디지털미디어(1.6%) 순이었다.

 활동 시간별로는 TV는 평일 저녁시간(94.3%)에,신문은 평일 오전시간(17.1%)에,인터넷은 주말에 집에서(36.2%),라디오는 출근·등교·이동시(16.7%)에 가장 이용률이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