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과학원 연구팀 분석 온난화로 국내 산림 생태계 급변
지구온난화로 우리나라의 산림 생태계가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기온상승에 따라 나무들의 개엽·개화 시기가 빨라지고 있으며 서식하는 곤충류의 종류도 변하고 있다.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임종환 박사팀은 기후변화로 우리나라 평균기온이 지난 100년간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1.5도 상승했고 봄이 2주 앞당겨짐에 따라 여러 가지 생태계 영향이 관찰되고 있다고 12일 밝혔다. 연구진은 이 연구결과를 14일부터 제주에서 열리는 ‘기후변화 대응 연구 범부처 합동 워크숍’에서 발표할 예정이다.
연구진이 1996년부터 강원도 계방산과 경기도 광릉, 남해 금산지역의 산림을 관찰한 결과에 따르면 나무들의 개엽시기가 평균 1도 상승할 때마다 5~7일, 홍릉수목원 내 식물들의 개화시기도 1996년보다 10일 정도 빨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라산 정상 부근의 구상나무 숲은 겨울철 고온과 가뭄 등의 영향으로 일부 지역에서 급속히 쇠퇴하고 있으며 앞으로 온난화가 더 진행되면 고산 및 아(亞)고산지대의 군락이 쇠퇴할 것으로 예상됐다.
개화시기의 변화로 서식하는 곤충류도 빠르게 바뀌고 있다. 연구진이 2002~2006년 경기도 광릉과 앵무봉의 나비류를 조사해 과거(광릉 1958~1959년, 앵무봉 1971~1972년)와 비교한 결과 많이 증가한 5종 가운데 3종이 남방계 나비였던 데 비해 많이 감소한 8종 중 6종은 북방계 나비였다.
특히 산림과학원이 온난화에 따른 국내 산림의 변화를 예측한 결과 현재 졸참나무, 서어나무, 개서어나무 등 상록활엽수림으로 구성된 난대림지대는 남부해안과 제주도 저지대에만 형성돼 있지만 평균기온이 2도 상승하면 전라남북도, 경남, 충남, 경북 일부, 경기 일부까지 확장될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국내 산림의 대다수를 구성하고 있는 잣나무, 신갈나무, 굴참나무와 소나무는 줄어들 전망이다. 평균기온이 4도 높아지면 일부 환경학자들의 예측처럼 남부해안 및 제주 저지대는 아열대기후로 변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09-01-13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