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창리 이동식 건물 지붕 사라져”… 北, ICBM 추가 도발 가능성 고조

“동창리 이동식 건물 지붕 사라져”… 北, ICBM 추가 도발 가능성 고조

서유미 기자
서유미 기자
입력 2022-11-06 20:54
업데이트 2022-11-07 00: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VOA 보도… 일부 외벽도 해체
3월 김정은 ‘현대화 작업’ 지시

이미지 확대
미국 미들베리 국제학연구소 제임스마틴 비확산센터가 공개한 민간 위성사진업체 ‘플래닛 랩스’의 지난 4일 북한 평안북도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 촬영 사진. 이동식 조립 건물(원 안)의 크기가 확연히 줄었다. 미국의소리(VOA)방송 캡처
미국 미들베리 국제학연구소 제임스마틴 비확산센터가 공개한 민간 위성사진업체 ‘플래닛 랩스’의 지난 4일 북한 평안북도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 촬영 사진. 이동식 조립 건물(원 안)의 크기가 확연히 줄었다.
미국의소리(VOA)방송 캡처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장으로 활용될 수 있는 평안북도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의 이동식 건물 지붕과 외벽이 해체된 정황이 위성 사진을 통해 포착됐다고 미국의소리(VOA) 방송이 지난 5일 보도했다.

미 미들베리 국제학연구소 제임스마틴 비확산센터가 공개한 민간 위성사진업체 ‘플래닛 랩스’의 4일자 위성 사진에 따르면 조립 건물이 있던 자리가 텅 비어 있고 이틀 전까지 포착되던 하얀색 지붕이 사라졌다. 다만 건물 주변으로 어렴풋이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어 일부 외벽은 상당 부분 해체됐지만 형태는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됐다. 지난달 11일 촬영된 위성 사진을 보면 이 조립 건물은 원래 위치에서 서쪽으로 약 40m 이동했고, 지난달 24일엔 건물 외벽이 해체되는 장면이 확인된 바 있다. 해체 중인 조립 건물은 지하 터널로 운송된 로켓 추진체를 끌어올려 주 처리 건물로 옮기고 로켓을 수직으로 세워 발사대로 옮기는 역할을 해 왔다.

이번 작업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3월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을 방문해 ‘현대적 개건, 확장’을 지시한 결과로 풀이된다. 위성 사진 분석가인 데이비드 슈멀러 제임스마틴 비확산센터 선임연구원은 “이번에 포착된 변화는 아마도 이 일대 현대화 작업의 일환일 것”이라며 “이 건물의 진행 상황을 면밀히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일각에서는 북한이 추가로 ICBM 발사 시험에 나설 경우 정찰위성 발사를 가장해 서해위성발사장에서 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동창리 서해위성발사장은 화성15형, 화성14형, 화성12형 등의 ICBM 미사일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현장 실험들이 이뤄진 곳이다.



서유미 기자
2022-11-07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