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북한군, 지상군 병력 축소…공군 1만명 늘려”

軍 “북한군, 지상군 병력 축소…공군 1만명 늘려”

입력 2014-12-25 14:07
업데이트 2014-12-25 14: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AN-2기·헬기 중심으로 항공기 230여대 증가탄도미사일 1천여발 작전배치…사정 100여㎞ 지대공미사일 개발

북한군이 지난해 말 기준으로 지상군 병력을 줄이는 대신 공군 병력을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국방부가 최근 내놓은 ‘북한 및 주변국 군사력 현황’ 자료에 의하면 지난 2013년 말 기준으로 북한군 전체 병력은 119만명으로 변동이 없었지만, 육군은 102만에서 101만명으로 1만명 줄었고 대신 공군 병력은 11만명에서 1만명 늘어났다.

북한의 육군과 공군 병력 변동은 육군에 소속된 일부 항공부대를 공군으로 전환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군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북한군의 총병력 규모는 지난 2012년 발간한 국방백서에 나타난 병력 규모에 비해 변동이 없었지만 일부 부대의 소속 변동으로 육군과 공군의 병력 차이가 났다”고 설명했다.

해군 병력은 매년 1~2척의 잠수함(정)을 건조하고 있지만, 수년째 6만명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말 기준으로 북한의 항공기 규모도 230여대 증가한 것으로 평가됐다.

지난 2012년 기준으로 북한 항공기는 1천350대였으나 1년 후 1천580대로 늘었다고 국방부는 설명했다.

군 관계자는 “북한은 AN-2와 헬기 등의 전력을 지속적으로 증강하고 있다”고 전했다.

현재 북한이 보유한 전투기는 MIG-29, MIG-23 등 90여 대를 제외하면 대부분 구형이지만, 유엔 안보리의 대북제재 결의안 등에 의해 최신예 전투기를 수입하지 못하고 있다.

또 북한 해군은 810척의 함정을 보유한 것으로 분석됐다.

북한이 보유한 해군 함정 중 600여척은 150t 이하의 소형 함정으로 작전반경이 제한되고 파도에 저항하는 내파성이 부족하다고 국방부는 설명했다.

군은 “북한 함정의 절반인 400여척이 선령 30년을 초과한 노후 함정”이라며 “재래식 사격통제 장치를 장착하고 있어 야간이나 악천후 시 전투 능력이 제한된다”고 평가했다.

이밖에 합참 자료에 의하면 북한은 스커드, 노동, 무수단 등 1천여발의 탄도미사일을 전역에 작전 배치했다. 최근에는 기존의 고정화된 방공무기를 보완하려고 사거리 100km 안팎의 기동화된 지대공 미사일 체계를 개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