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張 최측근’ 지재룡 주중 北대사 아직 건재 왜?

‘張 최측근’ 지재룡 주중 北대사 아직 건재 왜?

입력 2013-12-12 00:00
업데이트 2013-12-12 00: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北·中관계 특수성 및 외교관 이탈 방지 의도

북한의 ‘장성택 숙청’ 광풍에도 최측근으로 꼽히는 지재룡 주중 북한 대사가 건재를 과시해 주목된다. 장성택의 조카인 장용철 주말레이시아 대사와 매형인 전영진 주쿠바 대사가 이미 평양으로 소환된 것과 대조적이다.

지재룡 주중 북한 대사
지재룡 주중 북한 대사
11일 외교 소식통 등에 따르면 지 대사는 이날 중국 왕이(王毅) 외교부장이 주최한 주중 외교 사절 초청 만찬에 참석했다. 그는 지난 9일 주중 쿠바 대사관 연회에 참석하고 10일 주중 남아프리카공화국 대사관에 마련된 넬슨 만델라 전 대통령 추모식장을 방문하는 등 공개적인 외교 활동을 벌이고 있다.

지 대사는 2004년 장성택이 실각했을 때 함께 쫓겨났다가 2년 후 같이 복귀하는 등 고락을 함께했다. ‘장성택 라인’으로 당 국제부 부부장을 거쳐 2010년 10월 주중 대사로 부임했다.

김정은 정권이 지 대사와 장성택의 깊은 인연을 알고도 교체하지 않는 건 북·중 관계의 특수성을 감안하는 동시에 중국 내 북한 외교관이나 무역 일꾼들의 이탈, 망명 등을 차단하려는 조치로 분석된다. 홍현익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주중 대사를 당장 소환하지 않는 건 북·중 관계의 안정적인 관리를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북·중 관계는 장성택 숙청 여파로 일정 기간 조정기를 거치겠지만 유일 지배체제를 강화하는 북한 최고지도자 김정은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정상회담이 오히려 더 빨리 성사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김한권 아산정책연구원 중국연구센터장은 “장성택 숙청은 북한 내부의 정치적 문제이고 이미 과거가 된 셈”이라며 “중국은 자국의 안보 이익을 보장하기 위해서라도 김정은을 관리할 필요성이 한층 커졌다”고 말했다. 김 센터장은 “중국과 미·일 동맹 간의 긴장이 고조되는 국면에서 북한이 무력 도발을 하거나 체제 불안정성이 커지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중국이 정상회담을 서두를 수 있다”고 관측했다.

안동환 기자 ipsofacto@seoul.co.kr

2013-12-12 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