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5년내 워싱턴 핵공격 가능”

北 “5년내 워싱턴 핵공격 가능”

입력 2013-02-14 00:00
업데이트 2013-02-14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노동당 간부 2011년 발언 녹취

북한 조선노동당 간부가 북한이 2016년까지 미국의 수도인 워싱턴을 핵공격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한 발언이 북한의 3차 핵실험을 계기로 새삼 주목받고 있다.

13일 마이니치신문에 따르면 노동당 간부는 2011년 내부 강연회에서 “5년 안에 워싱턴을 핵공격할 수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이 신문은 2011년 여름 북한 평양에서 열린 당 간부의 치안 관계자 상대 강연회 음성 기록을 입수했다며 이같이 전했다.

자료에 따르면 노동당 간부는 “우리나라의 핵무기는 5년 안에 소형화할 수 있다”며 “무게 500㎏ 이하로 만들면 미사일에 실을 수 있기 때문에 (공격) 효과가 크다”고 말했다. 또 “(소형화하면) 하와이나 괌을 공격할 수 있다”며 “워싱턴은 (북한에서) 1만 2000㎞ 이상 거리가 있지만, 이 문제도 5년 안에 해결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는 핵무기 소형화와 장거리 탄도미사일 개발을 동시에 추진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로버트 게이츠 전 미국 국방장관은 2011년 1월 방중 기간에 “북한이 5년 안에 미국 본토에 도달할 수 있는 장거리 대륙간탄도미사일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한편 북한의 3차 핵실험 폭발력이 40kt으로 추정된다는 독일 정부 산하 연구소의 분석이 나왔다. 독일 정부 산하 연방지질자원(BGR) 연구소는 13일(현지시간) 북한의 이번 핵실험 폭발력이 40kt에 이른다고 밝혔다고 독일 주간지 슈피겔 온라인이 보도했다.

BGR 연구소가 추정한 40kt의 폭발력은 한국 정부가 발표한 6∼7kt, 미국이 추정한 ‘몇 kt’, 러시아의 ‘7kt’ 이상’과 비교해도 훨씬 큰 수치다. 연구소에 따르면 북한의 핵실험 진원지에서 8200㎞ 떨어진 독일 바이에른 숲속 핵실험 감시 시설인 GERE에서 폭발이 일어난 지 11분6초 만에 지진 신호가 감지됐다. 이 연구소는 3차 핵실험의 지진 규모도 5.2로 측정했다. 이는 한국 기상청과 지질자원연구원의 4.9와 미국 지질조사국(USGS)의 5.1보다 큰 것이다.

도쿄 이종락 특파원 jrlee@seoul.co.kr

2013-02-14 6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