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투표자 45%가 ‘5060’…60대 22.69%, 50대 22.51%

사전투표자 45%가 ‘5060’…60대 22.69%, 50대 22.51%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4-04-10 21:03
업데이트 2024-04-10 21: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0대 15.65%, 70대 이상 14.97%
18∼29세가 30대보다 많이 참여

이미지 확대
제22대 국회의원선거 사전투표를 하루 앞둔 4일 서울 강남구 삼성2동 주민센터에 설치된 삼성2동 사전투표소에서 선거사무원이 기표소 앞에서 기표용구를 들어보이고 있다. 2024.4.4 안주영 전문기자
제22대 국회의원선거 사전투표를 하루 앞둔 4일 서울 강남구 삼성2동 주민센터에 설치된 삼성2동 사전투표소에서 선거사무원이 기표소 앞에서 기표용구를 들어보이고 있다. 2024.4.4 안주영 전문기자
지난 5∼6일 실시된 4·10 총선 사전투표에서 60대가 가장 많이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전체 유권자 4428만 11명 중 1384만 9043명이 사전투표에 참여한 가운데 60대가 314만 1737명(22.69%)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50대 311만 7556명(22.51%), 40대가 216만 7505명(15.65%), 70대 이상 207만 3764명(14.97%) 순이었다.

이번 총선에서 50·60대가 전체 사전투표자의 45.20%를 차지한 것이다.

사전투표자 수가 가장 적은 연령대는 30대로 155만 9701명(11.26%)이었다. 18∼29세는 178만 8780명(12.92%)이었다.

2020년 21대 총선 사전투표 때는 50대가 257만 6527명(21.9%)으로 가장 많이 참여했었다. 60대가 215만 2575명(18.3%), 40대가 207만 4663명(17.7%)으로 뒤를 이었다.

2022년 20대 대선 사전투표 때는 50대가 358만 6939명(22.0%), 60대가 329만 3577명(20.2%), 70세 이상이 205만 9953명(12.6%)이었다.

대선 당시에도 20대(18~19세 제외)가 236만 4939명(14.5%)으로, 30대 201만 5994명(12.4%)보다 많았다.

다만 이러한 결과가 각 연령대별 사전투표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는 사전투표자 내 연령대별 비중을 따진 것으로, 유권자 수 자체가 연령대별로 다른 것을 감안해야 한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의 선거인 수가 선거인명부 확정일인 3월 29일을 기준으로 재외국민을 포함, 총 4425만 1919명이었다. 본 투표일인 10일 기준으로는 4428만 11명이었다.

3월 29일 기준으로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이 1411만53명(31.89%), 50대 871만 1608명(19.69%), 40대 785만 7539명(17.76%), 30대 655만 9220명(14.82%), 20대 611만 8407명(13.82%), 10대(18~19세) 89만 5092명(2.02%)이다.

50대 이상 유권자가 전체 51.58%다. 40·50대 비율은 37.45%로, 20·30대 28.64%보다 8.81% 포인트 더 많다.
신진호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