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조사] 文, 대부분 지역 1위…黃, TK서 2위로 주저앉아

[여론조사] 文, 대부분 지역 1위…黃, TK서 2위로 주저앉아

입력 2017-03-13 07:08
업데이트 2017-03-13 07: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안희정, ‘안방’ 충청에서 文 추격…안철수, 호남 2위로 올라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가 기존 야권의 불모지인 대구·경북(TK)에서도 1위를 차지하며 강원·제주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지지율 수위를 달리는 것으로 13일 나타났다.

특히 야권의 ‘텃밭’인 호남에서 36%대의 지지로 강세를 보이며 대세론을 유지했다.

다만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가 안희정 충남지사를 누르고 2위로 올라서는 등 호남의 표심이 요동쳤다.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TK에서는 1등의 자리를 문 전 대표에게 내준 채 2위로 떨어졌고, 부산·경남(PK)에서는 기존 2위에서 안희정 지사에게 밀려 3위로 내려앉았다.

역대 대선에서 ‘캐스팅보트’ 역할을 해온 ‘중원’ 충청에서는 안희정 지사의 지지율이 급상승, 선두인 문 전 대표를 오차범위내로 추격했다.

연합뉴스와 KBS가 지난 11∼12일 코리아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성인 남녀 2천46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서 ±2.2%) 결과에 따르면 문 전 대표는 서울과 수도권, 충청, 호남 등에서 지지율 30% 대를 기록했다.

서울에서는 문 전 대표가 지지율이 31.4%를 차지했다. 이는 직전인 지난달 5∼6일 조사(성인 2천16명 대상, 95% 신뢰수준 표본오차 ±2.2%)보다 3.0% 포인트 상승한 수치다.

이 지역에서 황 권한대행이 17.9%, 안 지사가 16.2%의 지지로 각각 2위와 3위를 기록했다. 황 권한대행은 지난달보다 6.4% 포인트 상승하며 2위로 올라섰고, 안 지사도 1.5% 포인트 올랐다.

인천·경기에서는 문 전 대표(31.5%)-안 지사(18.7%)-황 권한대행(16.2%) 순이었다.

호남에서는 문 전 대표가 지난달보다 1.5% 포인트 오른 36.6%의 지지로 경쟁자들을 멀찌감치 따돌렸다. 지난 총선에서 호남지역에서 제3당 돌풍을 일으켰던 안철수 전 대표는 지난달보다 2.8% 포인트 오른 13.6%로 2위를 기록했다.

이재명 성남시장은 5.2% 포인트 뛴 13.0%로 3위를 차지했다. 반면 안 지사는 ‘선의 발언’ 등의 역풍을 맞고 11.9%로 1.7% 포인트 하락하며 2위에서 4위로 두 계단 밀렸다. 황 권한대행의 호남 지지율은 2.0%였다.

문 전 대표는 고향인 PK(부산·울산·경남)에서도 1위를 지켰지만, 지지율은 27.1%로 전달보다 7.0% 포인트 하락했다. 안 지사는 0.7% 포인트 늘며 11.7%로 2위로 올라섰고, 황 권한대행은 2.5% 포인트 줄어 10.9%로 3위였다. 이번에 새로 조사대상에 포함된 홍준표 경남지사가 지역적 기반이라 할 수 있는 이 지역에서 4.2% 포인트를 얻었다.

TK(대구·경북)에서는 문 전 대표는 21.3%로 전달보다 4.0% 포인트 상승하며 1위를 차지했다. 황 권한대행은 15.7%로 4.7% 포인트 하락하며 2위로 한계단 내려갔다. 안 지사는 12.9%로 3위였다.

강원·제주에서는 안 지사가 14.3 포인트 급등한 21.9% 지지를 얻으며 1위로 올라섰다. 문 전 대표는 21.2%로 4.5 포인트 하락하며 2위였다. 3위는 11.5%인 황 권한대행이다.

안 지사는 안방인 충청에서 강세를 이어갔다.

대전·충청·세종 지역 1위는 문 전 대표(32.3%)였고 안 지사는 28.1%로 추격했다. 문 전 대표는 지난달보다 4.3% 포인트, 안 지사는 2.3% 포인트 각각 오르며 동반상승했다.

이 지역에서 3위인 황 권한대행은 9.3%로 1.1% 포인트 떨어졌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공정심의위원회 홈페이지(nesdc.go.kr)를 참조하면 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