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국민대통합委’ 역할과 구성은

박근혜 ‘국민대통합委’ 역할과 구성은

입력 2012-09-24 00:00
업데이트 2012-09-24 11:2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앙선대위와 동시발족 유력..’진정한 통합’에 방점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후보는 24일 과거사 문제에 대해 사과하는 동시에 이를 실천할 수 있는 방안으로 ‘국민대통합위원회 설치’를 제시했다.

박 후보는 이날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한 기자회견에서 “과거의 아픔을 가진 분들을 만나고 더 이상의 상처로 남지 않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앞으로 국민대통합위원회를 설치해 과거사 문제를 비롯한 국민의 아픔과 고통을 치유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대선후보 확정 이후 국민대통합 행보를 이어오다 과거사에 발목 잡힌 박 후보가 5ㆍ16쿠데타, 유신, 인혁당 사건 피해자ㆍ유가족에 대한 사과를 시작으로 다시 국민대통합의 기치를 내걸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위원회 운용은 과거사를 둘러싸고 우리 사회의 갈등과 분열이 반복돼 왔다는 점에서 역사인식을 달리하는 시각 사이의 간극을 좁히는데 초점을 맞출 것이라는 게 박 후보 측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한 관계자는 “정치권이 매번 21세기 정치, 통합의 정치를 내세우지만 실질적인 통합 없이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것 아니냐”며 “서로 머리를 맞대고 진정한 통합을 이끌어내겠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박 후보 스스로 부친인 고(故) 박정희 전 대통령 시대의 잘못을 명백히 규정한 만큼 미래를 향한 통합에 초점을 맞춘다는 것이 다 .

이 같은 맥락에서 박 후보가 ‘아픔과 고통 치유’를 강조했다는 점에서 유신시대 피해자에 대한 법적ㆍ제도적 보상방안 마련, 여전히 물음표가 붙은 유신시대 사건에 대한 진상규명 등이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이다.

가령 국민대통합위원회가 인혁당 재건위 사건과 관련해 2007년 판결에 부합해 성격을 규정하거나 의혹이 불거진 고(故) 장준하 선생의 의문사를 둘러싼 진상규명 의지 등을 밝히는 방법 등이 거론된다.

김용태 의원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넬슨 만델라 전 대통령이 했던 것처럼 ‘진실화해위원회’를 만들어서 박정희 대통령 시절부터 과거사로 고통받은 분들의 진실을 규명하고 화해하는 쪽으로 가는 것도 방법”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국민대통합위는 중앙선대위 발족과 함께 출범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된다. 박 후보가 내세운 ‘100% 대한민국’을 현실화할 방안을 국민대통합위를 통해 마련한다는 것이다.

박 후보가 기자회견 직후 기자들과 만나 “앞으로 실천해 나가는 게 중요하다”고 말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핵심 관계자는 “국민대통합위를 선대위 안에 두는 것은 물론 만약 박 후보가 대통령이 된다면 그때도 국민대통합위를 둘 수 있을 것”이라며 “대통령이 과거와의 싸움만 할 수는 없는 것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황우여 대표도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새누리당은 이제 훼손된 상처를 치유하는 일에 국민대통합위원회를 통해 최선을 다해 일하겠다”며 당 차원의 지원을 강조했다.

당장 박 후보는 국민대통합위의 인선을 놓고 고심할 것으로 보인다.

과거사에 대한 견해가 첨예하게 엇갈린 상황에서 국민대통합위를 채울 구성원 면면이 박 후보의 ‘통합 의지’를 상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벌써부터 당 안팎에서는 유신시대의 피해자, 또는 진보진영을 대표하는 정치적 중립인사 등을 발탁, 국민대통합위를 띄울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