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는데도 더 슬픈 결말…21세기 서사·몸짓으로 바뀐 ‘로미오와 줄리엣’

아는데도 더 슬픈 결말…21세기 서사·몸짓으로 바뀐 ‘로미오와 줄리엣’

류재민 기자
류재민 기자
입력 2024-05-26 06:00
업데이트 2024-05-26 06: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로미오와 줄리엣’ 공연 장면. LG아트센터 제공
‘로미오와 줄리엣’ 공연 장면. LG아트센터 제공
‘로미오와 줄리엣’은 순수하고도 비극적인 사랑의 결정체로서 탄생 이래 수많은 사랑을 받아왔다. 익히 아는 이야기지만 알면서도 보게 되는 매력이 있고, 다 아는 이야기를 어떻게 변주할까 하는 기대감이 다른 작품보다 더 크다. 그래서 ‘로미오와 줄리엣’은 예술가들에게는 흥행 보증수표인 동시에 대중의 냉혹한 평가도 따를 수밖에 없는 양날의 검 같은 작품이다.

수많은 창작물 중에서도 매튜 본의 ‘로미오와 줄리엣’은 가장 파격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안무가인 그는 ‘로미오와 줄리엣’을 요즘 시대 이야기로 변주해 현재를 살아가는 청춘들의 고민과 사랑을 그려냈다. 지난 8~19일 서울 강서구 LG아트센터 서울에서 먼저 선보인 작품은 지난 23일 부산 남구 드림씨어터로 공연장을 옮겨 관객과 만나고 있다. 부산 공연은 단 4일만 열려 26일이 마지막 공연이다.

“셰익스피어의 원작을 성역화하지 않았다”는 본의 말대로 작품은 원작 속 이야기 구조를 과감하게 벗어난다. 원작의 핵심인 두 가문의 대결 구도를 과감히 덜어냈고, 작품의 배경을 ‘베로나 인스티튜트’로 옮겼다. 기관이라는 뜻을 지닌 인스티튜트(institute)라고 불리는 이곳이 정신병원인지, 학교인지, 수용소인지는 모호하다.
이미지 확대
‘로미오와 줄리엣’ 공연 장면. LG아트센터 제공
‘로미오와 줄리엣’ 공연 장면. LG아트센터 제공
‘두 젊은 남녀의 비극적 사랑’이라는 소재를 제외하면 원작의 서사는 알아보기가 어렵다. 원작에는 없는 약물, 트라우마, 우울증, 학대, 성 정체성 등의 문제를 거침없이 묘사한다. 원작에서 로미오와 줄리엣이 10대라는 점을 생각하면 요즘 시대의 10대 이야기로 바꾸려면 꼭 필요한 장치라는 생각이 든다.

다양한 변주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것은 로미오와 줄리엣의 사랑이다. 그래서 작품에서도 두 사람이 사랑하는 장면만큼은 한없이 숭고하고 아름다운 영역으로 남겨둔다. 희곡이 무용으로 장르는 바뀌었지만 두 사람이 함께 추는 춤은 셰익스피어도 글로 다 표현 못 한 애틋한 감정을 절절하게 드러내면서 관객들에게 깊은 감동을 선사한다.

본은 작품의 결말에 대해 “추하고, 유혈이 낭자하고, 원초적인 비극이 기다리고 있고, 그래서 원작보다도 더 가슴이 미어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원작도 슬프게 끝나지만 그의 말대로 본의 ‘로미오와 줄리엣’은 유혈이 낭자한 상태로 정말 안타깝게 끝나면서 원작과는 또 다른 감정선을 건드린다. 누구나 결말을 아는 이야기지만 본의 ‘로미오와 줄리엣’은 예상 밖의 결말이라는 점에서 비극성을 더 진하게 남기는 작품이다.

부산 류재민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