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셋째 낳았어요”…돌고래쇼 하다 바다로 돌아간 ‘삼팔이’ 근황 [포착]

“셋째 낳았어요”…돌고래쇼 하다 바다로 돌아간 ‘삼팔이’ 근황 [포착]

김민지 기자
김민지 기자
입력 2023-10-11 15:44
업데이트 2023-10-11 16: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삼팔이가 세 번째로 낳은 새끼와 유영하고 있다. 해양동물생태보전연구소(마크∙MARC) 인스타그램
삼팔이가 세 번째로 낳은 새끼와 유영하고 있다. 해양동물생태보전연구소(마크∙MARC) 인스타그램
돌고래쇼를 하다가 제주 바다로 돌아간 남방큰돌고래 ‘삼팔이’가 셋째를 출산했다.

해양동물생태보전연구소(이하 MARC)는 지난 4일 공식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삼팔이가 세 번째 새끼를 낳았다는 기쁜 소식을 공유한다”고 밝혔다. MARC는 해양동물의 생태연구 및 보전을 목적으로 하는 연구 중심의 비영리단체다.

삼팔이는 제주도에서 태어난 남방큰돌고래로 10살 무렵인 2010년 그물에 걸려 불법 포획됐다. 이후 3년간 돌고래쇼에 이용되다 2013년 야생으로 방사됐다. 제주 앞바다에서 자유를 만끽하던 삼팔이는 2016년과 2019년 각각 새끼를 낳았다.

삼팔이의 셋째가 처음 관찰된 것은 지난 9월 13일이다. MARC 측에 따르면 유튜브 채널 ‘돌핀맨’을 운영하는 해양 다큐멘터리 감독 이정준씨는 지난달 13일 제주 동쪽 한동리 앞바다에서 갓 태어난 새끼를 데리고 가는 삼팔이를 포착했다.

삼팔이는 지난 8월까지는 2019년 태어난 개체와 함께 있는 모습만 포착됐다. 삼팔이의 옆에 새로운 새끼가 생겼을 가능성에 단체는 9월 26일부터 10월 2일까지 삼팔이를 유심히 관찰했다. 기대했던 대로 삼팔이의 곁에는 처음 보는 새끼 남방큰돌고래 1마리가 확인됐다.

MARC 측은 “태어난 지 얼마되지 않은 어린 새끼는 대체로 어미와만 붙어다니기 때문에 발견 일시가 빠르면 상대적으로 확인이 쉬운 편”이라면서 “다만 이번 삼팔이 케이스에서는 고민의 시간들이 좀 있었다”고 했다. 이번 새끼가 삼팔이 주변 개체들에게 자연스럽게 접근하는 행동이 다른 케이스들에 비해 높게 나타났기 때문이다.

단체는 “약 3~4마리의 어미 후보 중 출현 빈도와 어미-새끼 자세의 비율을 함께 확인하며 새끼를 확인하는데 신중을 기할 수밖에 없없다”면서 삼팔이의 셋째 소식이 늦어진 이유를 설명했다. ‘어미-새끼 자세’는 어미 돌고래가 새끼 돌고래를 등 뒤에 바짝 붙여두고 헤엄치는 자세로, 물살을 헤쳐야 하는 자식의 수고를 덜고 위험에 대처하는 돌고래의 전형적인 행동이다.
이미지 확대
해양동물생태보전연구소(마크∙MARC) 인스타그램
해양동물생태보전연구소(마크∙MARC) 인스타그램
단체에 따르면 삼팔이는 2019년에 태어난 둘째와도 여전히 함께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에 태어난 셋째 남방큰돌고래는 이들과의 동행에 함께하게 됐다. 셋째 돌고래는 8월 중순에서 9월 중순 사이에 태어났을 것으로 단체는 추정했다.

바다를 헤엄치는 삼팔이 가족을 포착한 유튜버 돌핀맨은 “바다로 돌려보낸 돌고래가 야생의 바다에서 10년을 살며 새끼를 낳고 낳고 또 낳았다”며 “야생 방사한 돌고래 출산이 세 번째까지 확인된 건 세계적으로 유례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삼팔이 가족을 촬영하는 동안 자연의 힘과 아름다움을 이렇게 멋지게 경험할 수 있다는 사실에 마음이 벅찼다”며 “무엇보다 삼팔이의 셋째가 건강하고 무탈하게 바다의 돌고래로 성장해 갈 수 있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김민지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