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전체메뉴닫기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
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서울신문 네이버채널

광고안보이기

“AI 정점은 개인비서”… ‘A.’ 꼭짓점 찍은 SKT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입력 :ㅣ 수정 : 2023-09-27 02:12 기업·산업 섹션 목록 확대 축소 인쇄

AI 개인비서 ‘에이닷’ 공식 출시

유영상 사장 “뜨거운 시장 될 것”
수면 관리·통화 요약 기능 등 제공
2028년까지 ‘매출 25조원’ 목표

인프라·AIX·서비스 ‘AI피라미드’
일반 소비자 대상 수익 창출 모색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이 26일 서울 중구 SKT타워 수펙스홀에서 열린 ‘SKT AI 사업전략 기자간담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SK텔레콤 제공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이 26일 서울 중구 SKT타워 수펙스홀에서 열린 ‘SKT AI 사업전략 기자간담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SK텔레콤 제공

“앞으로 3년 뒤면 요즘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처럼 누구나 인공지능(AI) 개인 비서를 2~3개씩 사용하며 ‘구글을 쓸 것이냐, 네이버를 쓸 것이냐, SK텔레콤을 쓸 것이냐’를 이야기하게 될 만큼 AI 비서 시장이 가장 ‘핫’한(뜨거운) 시장이 될 것이다. SK텔레콤은 AI 서비스 ‘에이닷’(A.)과 글로벌 협력(얼라이언스)을 통해 이 시장을 가장 먼저 선점하겠다.”

유영상 SK텔레콤 사장은 세계적인 ‘AI 컴퍼니’로 도약하기 위한 핵심 전략 사업으로 AI 개인 비서 서비스를 꼽았다. SK텔레콤은 약 1년 5개월간의 베타서비스를 거친 자사 AI 비서 서비스 에이닷을 26일 공식 출시했다.

유 사장은 이날 서울 중구 SKT타워 수펙스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3단 피라미드 형태의 사업 전략을 발표했는데, AI 개인 비서를 맨 꼭대기 ‘AI 서비스’ 부분에 뒀다. AI 기업들은 구축과 운영에 막대한 비용이 들어가는 생성형 AI를 기업간거래(B2B) 영역에서 우선 활용해 수익을 내고 있다. 반면 글로벌 빅테크를 포함한 이들 대부분이 일반 소비자 대상 서비스(B2C)에선 아직 뚜렷한 수익화 방안을 찾지 못했다. SK텔레콤은 이런 가운데 B2C 서비스를 정점에 둔 사업 전략을 발표한 셈이다.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SK텔레콤은 글로벌 AI 기업으로의 전환을 위해 AI 관련 투자 비중을 과거 5년(2019~2023년) 12%에서 향후 5년간 33%로 약 3배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2028년 매출 25조원을 달성하고 이 중 AI 매출은 9조원(36%)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게 목표다.

유 사장은 이날 이를 달성하기 위한 ‘AI 피라미드 전략’도 공개했다. 제일 하단에 위치한 ‘AI 인프라’ 영역에는 AI 데이터센터, AI 반도체, 멀티LLM 등이 포함된다. 데이터센터는 글로벌 시장에 진출하고 SK텔레콤이 설립한 AI 반도체 전문기업 ‘사피온’은 성능과 효율이 높은 AI 전용 칩 ‘X330’을 올해 말 출시한다.

피라미드 2단은 SK텔레콤과 SK브로드밴드의 주요 서비스에 모두 AI를 적용하는 ‘AI 전환’(AIX)이다. 도심항공교통(UAM), 엑스칼리버 등 AI 헬스케어 등으로의 사업 영역 확장도 여기에 포함된다.

유 사장은 “생성 인공지능으로 촉발된 파괴적 혁신은 산업, 사회, 생활 전 영역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면서 “자강과 협력을 골자로 한 인공지능 피라미드 전략을 중심으로 명실상부한 ‘글로벌 AI 컴퍼니’로 도약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공식 출시한 에이닷 서비스에는 통화 요약, 캘린더 기능을 담은 ‘AI 전화’, 슬립테크(숙면 기술) 스타트업 ‘에이슬립’과 협업한 ‘AI 수면 관리’, 에이닷과 대화로 나만의 플레이리스트를 만드는 ‘AI 뮤직’ 서비스 등이 제공된다.

김민석 기자
2023-09-27 12면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네이버채널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3681 등록(발행)일자 : 2015.04.20 l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이종락 l 사이트맵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l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