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 새만금 잼버리에 무슨 일이…” 외국인 부모들도 항의

“대체 새만금 잼버리에 무슨 일이…” 외국인 부모들도 항의

권윤희 기자
권윤희 기자
입력 2023-08-03 12:28
업데이트 2023-08-03 13: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지난 1일 잼버리 벨기에 대표단이 인스타그램 공식 계정에 물 웅덩이 위에 플라스틱 팔레트를 깔기 위해 옮기고 있는 사진을 게시했다. 2023 새만금 세계잼버리 벨기에 대표단 인스타그램 jamboree2023.be 캡처
지난 1일 잼버리 벨기에 대표단이 인스타그램 공식 계정에 물 웅덩이 위에 플라스틱 팔레트를 깔기 위해 옮기고 있는 사진을 게시했다. 2023 새만금 세계잼버리 벨기에 대표단 인스타그램 jamboree2023.be 캡처
전북 부안 새만금 부지에서 열린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 잼버리’ 대회 관련 불만이 폭주하고 있다.

국내 학부모들은 물론, 새만금 상황을 실시간으로 알기 어려운 외국인 부모들도 항의를 쏟아내는 모양새다.

딸을 새만금으로 보냈다는 멕시코 아버지 리카르도 비에스카는 2일 새만금 잼버리 공식 소셜미디어(SNS)에 “대체 잼버리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거냐. 딸이 지금 거기 있는데 완전히 무질서하고 먹을 것도 없고, 불볕더위를 피할 방법도 없단다. 혼란스럽다. 제발 무언가 조치를 취해달라”고 항의했다.

미국 청소년 대원의 어머니 크리스틴 윈두도 “아들의 부대는 도착이 늦어 학교 체육관에서 잼버리 첫날 밤을 보냈다. 캠프장도, 텐트도, 장구나 장비도 없어 이틀째 땅에서 밤을 보냈다. 지금은 기분이 좋은 것 같지만 악몽으로 변해가는 아들의 꿈에 가슴이 아프다. 이 혼란에 내 지갑만 큰 대가를 치렀다. 주최 측이 준비가 미비해 너무 슬프다”고 지적했다.

중학생 자녀가 대회에 참가했다는 한국인 학부모도 3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 인터뷰에서 비상시 매뉴얼 안내 등 사전 준비, 텐트 설치 및 식사 등 행사 운영, 세면장과 화장실 등 시설 위생 및 안전 대책 등 행사 운영 전반이 미흡하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그러면서 “이 정도면 직무유기”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학부모는 이번 대회와 관련해 “더위, 행사 관련 정보 부족, 텐트, 잡초, 음식, 음료수, 화장실, 샤워실 등 모든 게 다 문제”라고 꼬집었다.

자녀가 대회 첫날 더위로 인한 발열 및 구토, 오한 증상이 있었다는 학부모는 “발열 등 응급 비상 상황시 아이들이 부모한테 연락할 방법에 대한 어떤 매뉴얼도 안내받지 못했다. 나도 119에 전화해서 종합상황실 전화번호를 물은 뒤 다시 잼버리 병원과 통화하는 등 어렵게 어렵게 단계를 밟아야 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비상대책 및 중앙통제 부재”라고 일갈했다.

학부모는 “2020년 우리나라 온열환자가 1078명이었는데 어제 잠깐 사이에 400명이 나왔다. 이게 정상이냐”며 “팔레트 4개 위에 텐트를 치라는데 그 구멍에서 습기가 올라오고 팔레트가 딱딱해 애들이 어떻게 자느냐”고 따졌다.

대회 전 내린 폭우로 습지로 변한 야영장에서 물에 둥둥 떠다니는 플라스틱 팔레트를 깔고 텐트를 설치해야 했는데, 그마저도 비좁아 움직일 공간이 없다며 “누가 이런 생각을 했는지 모르겠다”는 지적이었다.

학부모는 이어 “참가국 청소년들이 100만원 이상씩 냈다고 하면 430억원이다. 나라면 시멘트를 깔았겠다”고 분통을 터트렸다.

새만금 세계 잼버리에는 159개국 청소년 스카우트 대원(한국 기준 중1년~고3 리더급) 3만여명과 지도자 등 4만 3225명이 참가했다. 대원들은 보증금 약 262달러를 포함한 약 900달러(신청 당시 약 103만원)의 참가비를 납부했다.

학부모는 또 “샤워시설이 부족하고 또 옆에서 다 보이는 천막 샤워실이다. 화장실도 일부 남녀공용인데 저녁에는 전기도, 불도 안 들어오고 청소를 안 해 더럽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최소한 위생적인 것은 깨끗하게 해주는 게 맞지 않은가”고 주최 측과 정부의 무성의가 원망스럽다고 말했다.

아울러 “사고가 터지고 문제를 분석할 게 아니라 사전에 예방했으면 좋겠다. 이는 정부와 관계자가 직무유기한 것으로 생각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학부모는 “전기를 통해서 시원한 물하고 환경이 제공이 돼야 하며 하다못해 애들이 휴대전화 충전이라도 할 수 있으면 좋겠다, 쓸데없는 데 돈 쓰지 말고 사고 나서 책임 물을 게 아니라 아이들을 위해서 투자하는 것이 범정부 차원의 지원 아닌가”며 정부의 각성과 대책 마련을 요구했다.
이미지 확대
2일 전북 부안군 하서면 내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잼버리 행사 야영장 모습. 2023.8.2 부안 오장환 기자
2일 전북 부안군 하서면 내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잼버리 행사 야영장 모습. 2023.8.2 부안 오장환 기자
이미지 확대
2일 전북 부안군 하서면 내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잼버리 행사장 바닥이 지난 폭우로 진흙밭으로 변해 있다. 2023.8.2 부안 오장환 기자
2일 전북 부안군 하서면 내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잼버리 행사장 바닥이 지난 폭우로 진흙밭으로 변해 있다. 2023.8.2 부안 오장환 기자
이미지 확대
지난 1일 잼버리 벨기에 대표단이 인스타그램 공식 계정에 물 웅덩이 위에 플라스틱 팔레트를 깔고 텐트를 치는 사진을 게시했다. 2023 새만금 세계잼버리 벨기에 대표단 인스타그램 jamboree2023.be 캡처
지난 1일 잼버리 벨기에 대표단이 인스타그램 공식 계정에 물 웅덩이 위에 플라스틱 팔레트를 깔고 텐트를 치는 사진을 게시했다. 2023 새만금 세계잼버리 벨기에 대표단 인스타그램 jamboree2023.be 캡처
이미지 확대
2일 전북 부안군 하서면 내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잼버리 행사장에서 참가자들이 더위를 피하기 위해 시원함 음료를 마시고 있다. 2023.8.2 부안 오장환 기자
2일 전북 부안군 하서면 내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잼버리 행사장에서 참가자들이 더위를 피하기 위해 시원함 음료를 마시고 있다. 2023.8.2 부안 오장환 기자
이미지 확대
2일 전북 부안군 하서면 내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잼버리 행사장에서 참가자들이 더위를 피하기 위해 부채질을 하고 있다. 2023.8.2 부안 오장환 기자
2일 전북 부안군 하서면 내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잼버리 행사장에서 참가자들이 더위를 피하기 위해 부채질을 하고 있다. 2023.8.2 부안 오장환 기자
이미지 확대
2일 전북 부안군 하서면 내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잼버리 행사 야영장에서 잼버리에 참가한 일본 학생들이 뜨거운 더위를 피해 물을 뿌리고 있다. 2023.8.2 오장환 기자
2일 전북 부안군 하서면 내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잼버리 행사 야영장에서 잼버리에 참가한 일본 학생들이 뜨거운 더위를 피해 물을 뿌리고 있다. 2023.8.2 오장환 기자
권윤희 기자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