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전체메뉴닫기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
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서울신문 네이버채널

광고안보이기

밥에서 ‘쥐 머리’ 나왔는데…“오리고기” 우기는 中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입력 :ㅣ 수정 : 2023-08-09 13:55 국제 섹션 목록 확대 축소 인쇄

중국 당국 “확실히 오리목” 주장
전문가 “설치류 머리 맞다” 반박

중국의 한 대학 식당 밥에서 이빨이 있는 쥐머리가 나오자 당국이 오리고기라고 주장해 논란이 일고 있다. SNS를 중심으로 중국 당국이 사안 은폐를 위한 거짓말을 했다는 의혹이 커지자 현지 당국은 “정밀 검증 중”이라며 한 발 물러섰다.

6일 상유신문 등 현지 매체 보도에 따르면 지난 1일 장시성 난창의 한 직업대학 학생은 “학교 구내식당에서 배식한 음식에서 쥐의 머리로 보이는 이물질이 나왔다”라며 동영상을 게시했다. 이빨과 콧수염까지 영락없는 쥐의 머리 모양이었다.

학생이 항의했지만 주방 조리사는 ‘오리고기’라고 우겼고, 학생은 해당 영상을 인터넷에 올리고 학교에도 정식으로 문제를 제기했다. 지방 정부까지 진상 조사에 나섰지만 결론은 ‘오리고기’였다. 신고한 학생조차 자신이 오리 목살을 쥐 머리로 오해했다고 뒤늦게 말을 바꿨다.

학생은 영상 ‘삭제’ 후 ‘해명’

문제의 영상이 포털 사이트 검색어 상위에 오르며 이슈가 되자 학교 측은 “이물질이 아니라 오리의 목으로 만든 정상적인 음식물로 확인됐다. 영상을 올린 학생도 수긍해 해명서를 제출했고, 관련 영상을 삭제했다”는 입장을 냈다.

이와 관련 30여년간 설치류를 연구했다는 한 전문가는 “해당 영상이 조작된 것이 아니라면 쥐의 머리가 맞다”며 “오리의 목이라면 이빨로 보이는 물질이 있을 수 없다”고 말했다.

다른 전문가들도 “영상 속 이물질의 이빨이나 두개골 구조상 설치류의 머리가 맞다”며 “전문가들이라면 한눈에 알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이를 두고 중국 네티즌들은 현대판 ‘지록위마’라며 당국의 일방적 결론을 조롱하는 풍자 게시물을 쏟아냈다. ‘지록위마’는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 부른다는 뜻으로 진시황 사후 환관 조고의 권력 농단에서 유래한 사자성어다.

김유민 기자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네이버채널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3681 등록(발행)일자 : 2015.04.20 l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이종락 l 사이트맵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l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