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전체메뉴닫기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
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서울신문 네이버채널

광고안보이기
전체메뉴 열기/닫기검색
서울신문 ci

“이상한 애가 풀섶을요” 아홉살 흑인 소녀 예일대학이 격려한 이유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입력 :ㅣ 수정 : 2023-02-04 06:50 국제 섹션 목록 확대 축소 인쇄
예일대학 제공 영국 BBC 홈페이지 재인용
클릭하시면 원본 보기가 가능합니다.

▲ 예일대학 제공
영국 BBC 홈페이지 재인용

지난해 10월 22일 아홉 살 소녀 보비 윌슨이 길가의 풀섶을 헤집고 다니자 이웃 주민이 수상쩍게 여기고 경찰에 신고했다. 알고 보니 윌슨은 해충 중에 해충인 랜턴플라이(꽃매밋과에 속하는 열대멸구)를 잡고 있었다. 해충제를 뿌리고 있었는데 물에 식기세척제, 사과 사이다 등을 섞어 집에서 만든 것이었다. 틱톡에서 제조법을 배워 만들었다고 했다.

열대멸구는 나무를 해치고 풀에 아주 좋지 않은 해충이다. 지난해 과학자들과 뉴저지주 당국은 주민들에게 열대멸구를 발견하면 언제 어디서든 벌레들을 죽이라고 권고하고 알들을 없애버리라고 조언했다.

이 일은 인종 프로파일링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과연 백인 소녀였으면 이웃이 경찰에 신고하는 소동으로 연결됐겠느냐는 것이었다.

뉴저지주에 사는 흑인 소녀 윌슨은 그 소동 석달 뒤 예일 공중보건대학으로부터 과학 영재 인증서를 받는 영예를 누렸다. 지난달 소녀는 예일대 피바디 박물관에 자신이 정성껏 수집한 37마리 열대멸구 박제 세트를 영구 기증했다. 이지오마 오페이라 공중보건대 부교수는 “예일대도 이런 일을 하지 않는다. 이 일은 보비만 할 수 있는 일”이라면서 “얼마나 그녀가 용감한지, 그녀의 일이 어떤 영감을 불러일으키는지 보여주고 싶었고, 우리는 그녀가 예일 사회에서 여전히 존중받으며 사랑받고 있음을 느끼게 해주고 싶었다”고 말했다.

벌써 두 번째 예일 방문이었다. 윌슨은 이웃의 경찰 신고 녹취록이 CNN 방송을 통해 중계된 뒤 전국적으로 유명해진 뒤 지난해 11월 이 대학 캠퍼스를 처음 찾았다고 했다.


임병선 선임기자
페이스북 공유 트위터 공유 카카오톡 공유 카카오스토리 공유 네이버밴드 공유 네이버블로그 공유 구분선 댓글

서울신문 공식 SNS 채널
구독 & 좋아요!!
서울신문 페이스북서울신문 유튜브네이버채널서울신문 인스타그램서울신문 트위터
  •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03681 등록일자 : 2015.04.20 l 발행인 : 곽태헌 · 편집인 : 이종락 l 사이트맵
  •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l Tel (02)2000-9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