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커톤 입상자 84% 비전공자, 고졸도 2명
민간 훈련기관과 기업 참여로 교육 ‘성과’
KDT 훈련생 기성대비 대기업 취업률 2.5배

▲ 정부의 첨단산업·디지털 분야 직업훈련인 ‘K-디지털 트레이닝(KDT)’이 전공과 무관하게 디지털분야 실무인재 양성 성과로 이어지는 것으로 평가됐다.
서울신문 DB
KDT는 정부가 국민내일배움카드를 통해 훈련비와 훈련장려금을 전액 지원하는 첨단산업·디지털 분야 직업훈련이다.
우아한테크코스·스마트인재개발원·서울대학교·모두의연구소 등 청년들이 선호하는 민간 훈련기관과 삼성(싸피), 케이티(에이블스쿨)과 네이버·카카오·SKT·포스코 등 디지털 선도기업들도 훈련기관으로 참여하면서 호응이 높다.
평균 훈련기간이 6개월(900시간) 이상인 집중 인재 양성 과정으로 훈련생은 기업이 제시한 실무 문제를 프로젝트 방식으로 해결해가는 현장맞춤형 교육이 제공된다. 2020년 11월 훈련과정 개설 이후 2년간 3만명 이상의 청년들이 참여했고, 기존 디지털분야 직업훈련 대비 500인 이상 기업에 취업하는 비중이 2.5배에 달했다고 고용부는 설명했다.
고용보험 데이터로 분석한 취업자 월평균 보수액 역시 기존 직업훈련 대비 평균 32만원 이상 높은 수준으로, 기업 주도로 청년들을 신산업·신기술 분야로 이어주는 ‘연결고리’ 역할을 인정받고 있다.
1회 1위팀은 프로젝트를 활용해 스타트업을 창업했고, 2회 1위팀은 대기업에 정규직으로 채용됐다.
올해 입상한 8개 팀 32명 중 27명이 비전공자로, 11명이 경제학과·사회복지학과 등 문과 출신이었고 이중 2명은 고교 졸업자로 나타났다.
세종 박승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