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믿었던 오유진마저 中 리허에 역전패… 한국 ‘여제’ 최정만 남았다

믿었던 오유진마저 中 리허에 역전패… 한국 ‘여제’ 최정만 남았다

장형우 기자
장형우 기자
입력 2022-10-16 20:10
업데이트 2022-10-17 00: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호반배 서울신문 세계여자바둑패왕전

오유진, 자충수로 승리 기회 날려
최정, 리허·우에노 승자와 격돌
한국 4연승 해야 초대 대회 우승

이미지 확대
16일 호반배 서울신문 세계여자바둑패왕전 본선 2차전에서 한국의 오유진 9단이 중국의 리허 5단과 대국하고 있다. 이날 오유진은 서울 한국기원에서, 리허는 중국 베이징 중국기원에서 각각 온라인으로 대국을 진행했다. 한국기원 제공
16일 호반배 서울신문 세계여자바둑패왕전 본선 2차전에서 한국의 오유진 9단이 중국의 리허 5단과 대국하고 있다. 이날 오유진은 서울 한국기원에서, 리허는 중국 베이징 중국기원에서 각각 온라인으로 대국을 진행했다.
한국기원 제공
‘오청원배의 여왕’ 한국의 오유진 9단이 중국의 리허 5단에게 패했다. 이제 한국은 ‘바둑 여제’ 최정 9단만이 마지막 주자로 남았다.
이미지 확대
16일 호반배 서울신문 세계여자바둑패왕전 본선 2차전에서 중국의 리허 5단이 한국의 오유진 9단과 대국하고 있다. 이날 오유진은 서울 한국기원에서, 리허는 중국 베이징 중국기원에서 각각 온라인으로 대국을 진행했다. 중국기원 제공
16일 호반배 서울신문 세계여자바둑패왕전 본선 2차전에서 중국의 리허 5단이 한국의 오유진 9단과 대국하고 있다. 이날 오유진은 서울 한국기원에서, 리허는 중국 베이징 중국기원에서 각각 온라인으로 대국을 진행했다.
중국기원 제공
오유진 9단은 16일 각각 서울 성동구 한국기원과 중국 베이징 중국기원에서 온라인으로 열린 ‘2022 호반배 서울신문 세계여자바둑패왕전’ 9국에서 중국의 리허 5단에게 166수 만에 흑 불계패했다. 전날 일본의 4번 주자 후지사와 리나 5단을 꺾은 리허 5단은 2연승을 달렸다.

이날 대국은 오유진 9단의 우위가 예상됐다. 오유진 9단은 지난달 끝난 오청원배 세계여자바둑대회 우승자로 현역 세계 타이틀 보유자인 동시에 이전까지 리허 5단과 11차례 겨뤄 8승3패로 압도적 우세를 보였다. 특히 2019년 이후로는 4연승 중이었다. 하지만 이날은 역전에 성공했다가 다시 재역전을 당했다.

초반은 좌하귀 싸움에서 실리를 취한 리허 5단에게 유리한 형세로 시작됐다. 이어 좌하귀와 우상귀에서 동시에 벌어진 전투에서 오유진 9단이 천천히 균형을 맞췄다. 팽팽한 기싸움이 이어지던 중 리허 5단이 66수에 이미 빼앗긴 우상귀에 수를 내려고 한 뒤 중앙에 신경을 쓰다 오유진 9단에게 주도권을 넘겨줬다. 유리한 흐름을 잡은 오유진 9단도 75수에 좌상귀에서 수를 내려고 하면서 복잡한 국면에 접어들었다. 또 몇 차례 자충수로 리허 5단이 중앙과 좌변에서 세력을 키울 수 있게 허용하고 말았다. 오유진 9단은 장점인 끝내기 상황에서 난전을 유도하며 역전의 기회를 노렸지만 승기를 잡은 리허 5단은 안정적인 대응으로 격차를 벌렸다.

이로써 오유진 9단, 김채영 7단, 허서현 3단, 이슬주 초단까지 모두 4명이 탈락한 한국이 우승을 위해선 마지막 남은 ‘에이스’ 최정 9단이 4연승을 올려야 하는 상황이 됐다. 최정 9단은 17일 열리는 리허 5단과 우에노 아사미 4단의 승자와 18일 마주 앉는다. 107개월 연속 한국 여자바둑 랭킹 1위를 독주하고 있는 최정 9단은 리허 5단과는 5승5패, 우에노 아사미 4단과는 2승1패의 상대 전적을 기록하고 있다.

호반건설이 후원하고 서울신문과 한국기원이 공동 주최하는 이번 대회는 한국, 중국, 일본에서 여자 기사 5명씩이 팀을 이뤄 연승전으로 겨루는 국가대항전으로 ‘여자바둑삼국지’로 불린다. 총규모는 3억원이며 우승 상금은 1억원, 본선 3연승 시 200만원의 연승 상금이 지급되며 이후 1승 추가 시마다 200만원이 더해진다. 제한시간은 각자 1시간에 초읽기 60초 1회가 주어진다.

장형우 기자
2022-10-17 22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