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무총리 소속 부마민주항쟁진상규명위원회는 12일 국회에서 부마민주항쟁 보고서를 평가하고 관련자 명예를 회복하기 위해 최형두 국민의힘 의원을 비롯한 국회의원 15명과 함께 토론회를 개최했다.
부마민주항쟁은 1979년 10월 16∼20일 부산·마산, 창원 등 경남 일대에서 유신 체제에 대항해 발생한 민주화운동이다. 위원회는 지금까지 조사 결과를 종합해 올해 초 보고서를 발간했으나 공론화가 미흡했다는 지적이 나와 부마민주항쟁 43주년을 맞이해 이번 토론회를 열었다.
토론회는 보고서 작성 과정과 의의 발표, 부산과 마산의 항쟁 전개 과정 및 조사 결과 발표, 관련자 단체와 과거사 전문가 입장 청취 순서로 진행됐다.
보고서 작성에 참여한 이영재 한양대 교수는 보고서 작성의 과정 및 한계, 부마민주항쟁이 갖는 헌정사적 의의에 대해 발표하고 위원회의 권고사항으로 국가폭력의 재발 방지는 물론 대한민국 헌법에 명시된 민주공화정의 정체성을 함양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구수경 위원장은 “이번 토론회로 위원회가 국가에 권고한 관련자 명예회복을 위한 실질적 조치, 국가폭력 가해자의 사과와 처벌 및 서훈박탈 등에 대한 국회의 역할을 모색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부마민주항쟁은 1979년 10월 16∼20일 부산·마산, 창원 등 경남 일대에서 유신 체제에 대항해 발생한 민주화운동이다. 위원회는 지금까지 조사 결과를 종합해 올해 초 보고서를 발간했으나 공론화가 미흡했다는 지적이 나와 부마민주항쟁 43주년을 맞이해 이번 토론회를 열었다.
토론회는 보고서 작성 과정과 의의 발표, 부산과 마산의 항쟁 전개 과정 및 조사 결과 발표, 관련자 단체와 과거사 전문가 입장 청취 순서로 진행됐다.
보고서 작성에 참여한 이영재 한양대 교수는 보고서 작성의 과정 및 한계, 부마민주항쟁이 갖는 헌정사적 의의에 대해 발표하고 위원회의 권고사항으로 국가폭력의 재발 방지는 물론 대한민국 헌법에 명시된 민주공화정의 정체성을 함양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했다.
구수경 위원장은 “이번 토론회로 위원회가 국가에 권고한 관련자 명예회복을 위한 실질적 조치, 국가폭력 가해자의 사과와 처벌 및 서훈박탈 등에 대한 국회의 역할을 모색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