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정의당 비례 교체 부결, 환골탈태 계기 삼아야

[사설] 정의당 비례 교체 부결, 환골탈태 계기 삼아야

입력 2022-09-05 19:40
수정 2022-09-06 01: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정의당 이은주 비상대책위원장과 비례 대표 의원들이 5일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당원 총투표 관련 의원단 합동 기자회견을 마친 뒤 고개숙여 인사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이은주 비상대책위원장, 장혜영, 류호정, 강은미, 배진교 의원.   뉴시스
정의당 이은주 비상대책위원장과 비례 대표 의원들이 5일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당원 총투표 관련 의원단 합동 기자회견을 마친 뒤 고개숙여 인사하고 있다. 오른쪽부터 이은주 비상대책위원장, 장혜영, 류호정, 강은미, 배진교 의원.
뉴시스
정의당의 비례대표 국회의원 5명 총사퇴 권고안에 대한 당원 총투표가 그제 과반 동의를 얻지 못해 부결됐다. 의원들이 사퇴할 경우 현실적 대안이 없는 정의당으로선 일단 한숨 돌리게 됐다. 비례의원 총사퇴 투표는 한국 정당 사상 초유의 일이다. 선거 참패에 대해 비례 의원들에게만 책임을 묻는 게 적절한지, 정의당이 비호감 정당으로 전락한 게 이들의 탓인지 등 논란이 분분했다. 총사퇴 시 의원직 승계 등 권력다툼 성격도 배제할 수 없었다.

하지만 이번 사태는 정의당에 대한 당원과 지지자들의 불신이 얼마나 깊은지 단적으로 보여 줬다. 잇단 선거 참패는 물론 지난 몇 년간 정의당이 진보정당으로서 초심을 잃고 보여 온 실망스런 행태가 지금에 이른 가장 큰 이유라고 본다. 특히 정의당은 틈만 나면 선거제도 개편을 통한 비례대표 의석 확대에 골몰했다. 21대 총선을 앞두고 민주당과 무리하게 선거법 개정에 나서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도입했다. ‘야합’ 비판이 거셌다. ‘법무장관 조국’을 묵인하는 등 기회주의적 태도로 정의당의 트레이드마크였던 ‘데스노트’마저 빛을 잃게 했다. 김종철 전 대표의 성추행 등 당내 성폭력 사건들은 진보정당 자격을 의심케 했다.

정의당 비례대표 의원 5명은 “엄중한 경고로 받아들이며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고 했다. 혁신 재창당 결의를 추진하겠다고도 했다. 시급한 것은 진보정당으로서의 정체성과 가치를 되찾는 일이다. 한눈팔지 말고 서민과 민생, 소수 약자, 젠더, 청년 등을 위한 합리적 대안을 끊임없이 제시해야 한다. ‘기득권적 진보’의 행태에서 탈피해야만 진보정당의 제 길을 되찾을 수 있다. 거대 여야가 후진성의 늪에서 헤매고 있는 지금이야말로 정의당이 존재감을 회복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아니겠는가.

2022-09-06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친하지 않은 직장동료의 축의금 얼마가 적당한가?
결혼시즌을 맞이해 여기저기서 결혼소식이 들려온다. 그런데 축의금 봉투에 넣는 금액이 항상 고민이다. 최근 한 여론조사에 의하면 직장동료의 축의금으로 10만원이 가장 적절하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다. 그러면 교류가 많지 않고 친하지 않은 직장동료에게 여러분은 얼마를 부조할 것인가요?
1. 10만원
2. 5만원
3. 3만원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