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확진자 본투표, 현장 혼란·부정시비 다시는 없어야

[사설] 확진자 본투표, 현장 혼란·부정시비 다시는 없어야

입력 2022-03-07 20:30
수정 2022-03-08 06:4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투표함도 없었다… 2022 대선의 민낯
투표함도 없었다… 2022 대선의 민낯 제20대 대선 사전투표 마지막 날인 지난 5일 부산 연제구 연산4동 제3투표소 확진·격리자 사전투표에서 일부 유권자가 새 투표용지가 아니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 윤석열 국민의힘 후보 등에게 이미 기표된 투표용지를 받아 논란이 되고 있다. 사진은 당시 유권자가 현장에서 찍은 문제의 투표용지.
부산 연합뉴스
9일의 20대 대통령 선거 본투표에서 코로나19 확진·격리자들도 일반 유권자와 같이 직접 투표함에 용지를 넣는 방식으로 투표를 하게 됐다. 어제 소집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긴급 전체회의에서 결정됐다. 사전투표 마지막 날인 지난 5일 소쿠리 등을 이용한 ‘전달 투표’ 등으로 발생한 대혼란을 방지하겠다는 의미다. 투표가 마감된 오후 6시 이후 일반 유권자가 모두 투표장에서 퇴장한 뒤 투표를 해 동선을 분리한다는 방침도 세웠다.

사전투표율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선관위가 직접·비밀투표 원칙을 허무는 우를 저지르며 유권자의 빈축을 샀다. 부랴부랴 마련한 결정으로 선거사무원의 대리 투입 논란은 해소됐다. 하지만 오후 6시대 투표 혼란은 계속될 전망이다. 농산어촌 확진자 중 고령자·장애인·임신부에게 적용되는 오후 6시 이전 투표를 다른 확진·격리자에게도 확대할 수 있는지 검토해야 한다. 확진자들이 장시간 대기하지 않도록 배려하는 방안도 뚜렷하지 않다.

사전투표 때 이미 공개된 확진·격리자의 기투표된 용지에 대한 자의적 처리도 논란의 소지가 있는 만큼 문제가 된 투표소를 전수조사해 이상 여부를 철저히 가려야 한다. 선관위가 확고한 지침을 세워 선거 관리 인력을 사전에 철저히 교육하고 소모적인 혼선과 혼란을 막는 데 주력하길 당부한다. 더이상 사전투표 혼란이 선거부정 시비로 비화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투표권은 주권자의 헌법적 권리다. 선거 및 방역 행정의 부실과 미비로 투표권이 훼손되는 일은 국가 기강을 문란시키는 행위나 다름없다. 선관위는 민주주의 열망을 표출하는 대선 투표가 무사히 끝날 수 있도록 선거 마지막 순간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말고 전력을 다하길 바란다.

2022-03-08 3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친하지 않은 직장동료의 축의금 얼마가 적당한가?
결혼시즌을 맞이해 여기저기서 결혼소식이 들려온다. 그런데 축의금 봉투에 넣는 금액이 항상 고민이다. 최근 한 여론조사에 의하면 직장동료의 축의금으로 10만원이 가장 적절하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다. 그러면 교류가 많지 않고 친하지 않은 직장동료에게 여러분은 얼마를 부조할 것인가요?
1. 10만원
2. 5만원
3. 3만원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